1. 용액 (Solution)
ㅇ 2 이상의 순수 물질들이 균일하게 섞어있는 혼합물
- 용액 내 용매에 녹아있는 용질의 균일 혼합물 (용액 = 용매 + 용질)
ㅇ 분자 차원에서, 혼합이 이루어진 경우를 말함
ㅇ 상(相) 관점에서, 기체,액체,고체 상 모두 가능
- 기체는, 완전 자발적으로 서로 섞여짐 (분자 간 인력이 매우 약함)
- 액체는, 액체 용액이 주로 다루어지며, 액체 용액 중에서도 수용액이 많이 연구됨
- 고체는, 고용체, 합금 (금속의 고체 용액) 등
2. 용액의 화학종
ㅇ 용매 (Solvent) : 용액 내 다수의 화학종
ㅇ 용질 (Solute) : 용액 내 소수의 화학종
3. 용액의 특징
ㅇ (용액의 형성)
- `용질`이 `용매`에 녹아서, => `용액`을 형성함 ☞ 용해 (Dissolution) 참조
ㅇ (용액의 농도) : (용질의 농도) ☞ 농도, 분율 참조
- 몰 농도(Molarity, M), 몰랄 농도(Molality, m),
질량 백분율(Mass Percent), 몰 분율(Mole Fraction)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 가능
ㅇ (용액의 포화) : (용질이 최대로 녹는 정도)
- 일정 용매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 ☞ 용해도 (Solubility) 참조
ㅇ (용액의 온도 유지) : (용매의 열 저장성)
- 용매는, 용질을 용해하고, 화학반응의 온도를 유지하는 열저장소 역할을 함
ㅇ (용액의 열 발생 및 흡수)
- 용액이 만들어질 때, 전체 엔탈피 변화 ☞ 용해열 ΔH (Heat of Dissolution) 참조
ㅇ (용액의 총괄성)
- 용질의 종류가 아니라 용질 입자의 수에 의존하는 성질 ☞ 총괄성, 라울의 법칙 등 참조
4. 용액의 구분
ㅇ 용매 종류에 따른 구분
- 용매를 물로 사용한 용액은, `수용액`이라고 하고,
- 용매를 알코올로 사용한 용액은, `알코올 용액`이라고 하는 등
ㅇ 포화 정도에 따른 구분 ☞ 용해 용어 참조
- 포화 용액 : 용해된 용질의 양이 용해도와 같은 용액
- 불포화 용액 : 용해된 용질의 양이 용해도보다 작은 용액
- 과포화 용액 : 용해된 용질의 양이 용해도를 초과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