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ation   포화

(2022-02-21)

1. 포화 (飽和, Saturation) 이란?

  ㅇ 어떤 물리량이 일정값까지는 증가하나 (보통 선형적 또는 지수적으로), 
     - 그 이상으로는 증가하지 않는 현상  


2. 전기장,자기장 포화전기장에서는, 포화하기 전에 절연 파괴되므로 포화라는 개념이 없지만,
  ㅇ 자기장에서는, 자기회로를 구성하게되는 강자성체에서 `자기 포화` 특성이 있음


3. 반도체 포화 속도 (Saturated Velocity)반도체캐리어드리프트 속도는,
     - 통상, 전계에 단순 비례하나, 
        . (드리프트 : 전계 또는 전위차에 의한 전하 입자의 순 움직임)
     - 높은 전계 하에서는, 전계에 단순 비례 않고, 일정한 포화 속도 값에 접근하게 됨


4. 트랜지스터 포화 전압제어전류원(Voltage-controlled Current Source)으로써 트랜지스터가,
     - 제어 전압을 아무리 늘려도, 더이상 부하 전류가 늘어나지 않는 영역

  ※ ☞ BJT 포화영역, MOSFET 포화영역 참조


5. 색채학에서, 색 포화 (Color Saturation)채도와 같이, 동일 색상 내 진한 정도를 일컬음
     - 주로, 흰색으로부터 차이나는 정도를 말함 (또는, 그 색에 흰색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 정도)


6. 열역학에서, 포화

  ※ ☞ 포화 증기압 등 참조
     - 증발(액체기체)과 응축(기체액체)이 균형(상 평형)되는 압력


7. 용액에서, 포화

  ※ ☞ 포화 용액, 용해도 참조
     - 포화 용액 : 용해용질의 양이 용해도와 같은 용액, 이 이상이면 가라앉게 됨
     - 용해도 : 포화 용액이 되기위한 용질의 최대량 (최대로 포함되는/녹을 수 있는)


8. 유기화합물에서, 포화
 
  ※ ☞ 포화 탄화수소 참조
     - 탄소의 모든 결합이 단일 공유결합 (포화결합)을 갖는 분자 형태
        . 즉, 탄소 원자가 다른 4개 원자와 모두 단일 결합을 이루므로, 이를 포화되었다고 함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