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tor Polynomial   생성 다항식

(2024-11-10)

1. 생성 다항식 (Generator Polynomial)

  ㅇ 입력에 의해 출력이 결정되는 `조합 논리`의 표현을, 
     - `부울 대수`가 아닌 `추상 대수`의 대수적 표현 방법에 의함                ☞ 아래 2.항 참조

  ㅇ 입력 비트들로부터 출력 비트들의 생성을 다항식으로 표현함
     - 입력 시퀸스로부터 유효 부호어를 `생성시킬 수 있는 다항식` 형태의 표현
        . 주로, 순환부호 생성 표현에 사용됨


2. 생성 다항식의 표현 및 부호어 생성 방식

  ㅇ 생성 다항식의 표현식
       
g(x) = g_0 + g_1x + \cdots + g_rx^r
- g_0,g_1,\cdots,g_r : 이진 또는 유한체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계수 . g_0,g_r : 처음,끝 계수로써, 항상 그 값이 0 이 아닌 1 임 - r : g(x)의 차수(degree), (n,k) 순환부호에서 (n - k)를 말함 ㅇ 생성 다항식부호어 생성
c(x) = m(x) g(x) \\ \qquad = (m_0+m_1x+\cdots+m_{k-1}x^{k-1}) (g_0 + g_1x + \cdots + g_rx^r) \\ \qquad = m_0g_0 + m_1g_1x + \cdots + m_{k-1}g_rx^{r+k-1} \\ \qquad = c_0 + c_1x + \cdots + c_{n-1}x^{n-1}
` - c(x) : 부호어 다항식(code polynomial), 차수 deg[c(x)] ≤ n - 1 - m(x) : 메세지 다항식(message polynomial), 차수 deg[m(x)] ≤ k - 1 - g(x) : 생성 다항식(generator polynomial), 차수 deg[g(x)] = n - k = r . g(x)의 차수 : (n-1) = (r+k-1) => r = n - k .. 이는, 패리티 검사 비트 수 (n - k) 와 같음 3. 생성 다항식조합 논리(논리 회로)의 표현 例) 4. 생성 다항식에 의한 부호어 생성선형블록부호에 주로 쓰이는 생성행렬 처럼, 순회부호유효 부호어를 생성시키는 도구의 개념 - 사실상, `생성 행렬 (벡터,행렬 표현)`과 `생성 다항식 (다항식 표현)`은 등가적 개념임 ㅇ 例) (7,4) 순환부호부호어 생성 : m(x) = [1101] = 1+x+x^3, \; g(x) = 1+x+x^3 - c(x)=m(x)g(x)=(1+x+x^3)(1+x+x^3)=1+2x+x^2+2x^3+2x^4+x^6 . 2 mod 2 = 0 이므로, c(x) = 1+x^2+x^6 = [1010001] ㅇ 즉, 생성 다항식 이란? : (유효 부호어 생성) = (다항식 곱) = (부호화) ※ [참고] 선형 부호의 생성 및 에러검출 => (편리한 수학적 도구가 존재함) - [생성] 생성 행렬 (선형블록부호 생성에 유리), 생성 다항식 (순회부호 생성에 유리) - [오류검출] => 생성행렬에 대응시킨 패리티검사행렬 4. (n,k) 순환 부호에서, 생성 다항식 g(x)의 성질, 특징 ㅇ 생성 다항식은, 원시 다항식 이거나, 원시 다항식에서 유도된 것이어야 함 - (원시 다항식 : 다항식이 인수가 없는 즉, 약분 불가능한 기약 다항식) . 例) x^2+x+1=0,\quad x^3+x+1=0,x^3+x^2+1=0, x^5+x^2+1=0,x^5+x^3+1=0,x^5+x^3+x^2+x+1=0, x^5+x^4+x^2+x+1=0,\cdots . 생성 다항식원시 다항식이면, 이는 항상 유일(Unique) 함 - (원시 다항식에서 유도된 것) . 例) g(x)=1+x+x^3,\;g'(x)=(1+x+x^3)(1+x^2)는, 동일한 순회 부호를 생성 .. g'(x)는 g(x)의 배수임. 즉, g(x)는 g'(x)의 약수(인수)임 ㅇ 생성 다항식으로 생성된 CRC의 길이를 정의하게 됨 ☞ CRC 생성 다항식 종류 참조 - 例) 만일, 16 비트 CRC가 필요하다면, (CRC-16) . 생성 다항식은, 17 비트코드 길이가 되어야 함 . 첫,끝 비트(계수값)는 반드시 1 이어야 함 - 例) CRC-32 (코드 길이 비트수 : 32 + 1 = n - k + 1 bits) ㅇ 생성 다항식 g(x)은, (xn + 1)를 나누는, 약수(인수,factor)가 됨 : - 例) x^7+1=(1+x+x^3)(1+x+x^2+x^4)=g(x)h(x) . (n - k = 3)인 생성 다항식 g(x)=(1+x+x^3)이면, (n,k) = (7,4) 순환부호 생성 . (n - k = 4)인 생성 다항식 g(x)=(1+x+x^2+x^4)이면, (n,k) = (7,3) 순환부호 생성 ㅇ 순환 부호유효 부호어는, 생성 다항식 g(x)로 나누어떨어지는 특성을 가짐 - 만일, 어떤 다항식이, 생성 다항식 g(x)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즉, 나머지 = 0), 유효 부호어 임 ㅇ 패리티 비트, 코드 길이와의 관계성 ☞ 위 2.항 (차수), 블록 부호 용어 참조 - 생성 다항식 g(x)의 최소 차수는, 패리티 비트의 개수와 관련 있음 (r = n - k) - 생성 다항식 g(x)의 길이는, 부호 길이와 관련 있음 (n) ㅇ 또한, 오류 검출 및 수정에도 활용 - 생성 다항식 g(x)를 사용해, 유효 부호어 확인 및 오류 검출 가능 - 신드롬 계산에 g(x)가 활용됨

선형 블록부호의 생성(표현)
1. 생성 행렬   2. 생성행렬 표현   3. 부호 다항식   4. 생성 다항식  
순회 부호
1. 순회 부호   2. 부호 다항식   3. 생성 다항식   4. CRC(순환중복검사)   5. CRC 생성 다항식 종류   6. BCH 부호   7. RS 부호   8. PN 코드   9. 최장 수열  
길쌈부호 표현
1. 길쌈부호 표현   2. 길쌈 부호화기   3. 구속장   4. 생성 다항식   5. 트렐리스 도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선형 블록부호의 생성(표현)]1. 생성 행렬   2. 생성행렬 표현   3. 부호 다항식   4. 생성 다항식  

[순회 부호]1. 순회 부호   2. 부호 다항식   3. 생성 다항식   4. CRC(순환중복검사)   5. CRC 생성 다항식 종류   6. BCH 부호   7. RS 부호   8. PN 코드   9. 최장 수열  

[길쌈부호 표현]1. 길쌈부호 표현   2. 길쌈 부호화기   3. 구속장   4. 생성 다항식   5. 트렐리스 도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