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기 오염 및 대기 관리
ㅇ 미세 먼지 (Particulate Matter, PM)
- 대기 중에 존재하는, 고체 또는 액체로 된, 입자 상의 물질
. 미세 먼지 : 직경이 10 ㎛ 보다 작은 입자 (PM10)
. 초 미세 먼지 : 직경이 2.5 ㎛ 보다 작은 입자 (PM2.5)
* 생성 : 자연 생성, 배출원 배출, 대기 중 화학 반응 등
ㅇ VOC (휘발성 유기화합물) 대기 중 쉽게 증발하여 오존, 스모그 등을 유발하는 유기화합물
ㅇ AQI (Air Quality Index) 대기질을 수치로 표현한 지표, 건강 위험도를 평가함
ㅇ 에어로졸 (Aerosol, 연무질 煙霧質)
- 대기 중에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부유하는,
인공적(화석연료) 또는 자연적(화산)으로 생성된, 작은 입자들
ㅇ 연무 (Smog) : 연기(smoke)와 안개(fog)의 합성어, 대기오염의 결과로 발생
- 광화학 스모그 : 태양광에 의해 VOC와 질소산화물이 반응해 형성되는 유해 스모그
ㅇ 산성비 (Acid Rain) : 수소이온 농도(pH)가 5.6 미만인 비
- 대기 오염 물질이 대기 중의 수증기와 만나 황산,질산으로 변하면서 비에 흡수된 것
2. 수질 오염 및 정수 처리
ㅇ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산소량
- 물의 유기질 오염 지표 중 하나
. 물이 오염되면, 물 속 유기물이 늘어나고,
. 이에따라, 박테리아의 유기물 분해에 필요한 산소의 양도 증가하게 됨
ㅇ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 산화제로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산소량
ㅇ TSS (총 부유물질) : 수중에 떠 있는 고형 입자의 양
ㅇ 응집 (Coagulation) : 미세 입자를 큰 덩어리로 모아 제거하는 정수처리 과정
ㅇ 활성 슬러지법 : 미생물을 이용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폐수처리 방식
3. 폐기물 관리
ㅇ 매립지 (Landfill) : 폐기물을 매립하여 처리하는 장소
ㅇ 폐기물 분류 (Segregation) : 재활용 및 유해성에 따라 폐기물을 구분하는 과정
ㅇ 자원 순환 (Resource Circulation) :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해 사용하는 개념
ㅇ 위해 폐기물 (Hazardous Waste) : 인체나 환경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폐기물
ㅇ 침출수 (Leachate) : 매립지에서 폐기물과 함께 생성되어 나오는 오염수
4. 토양 오염 및 정화
ㅇ 중금속 오염 : 납, 카드뮴, 수은 등 유해한 금속 성분이 토양에 축적된 상태
ㅇ 토양 복원 (Soil Remediation) :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거나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ㅇ 생물 정화 (Bioremediation) : 미생물을 이용해 토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
ㅇ 지하수 오염 : 땅속의 수질이 누출된 화학물질이나 폐수로 오염된 상태
ㅇ 침투 (Perculation) : 물이나 오염물이 토양을 통해 아래로 스며드는 현상
5. 기후 변화 및 지속가능성
ㅇ 탄소중립 (Carbon Neutrality) : 배출한 탄소량을 상쇄하여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개념
ㅇ 기후변화 (Climate Change) : 인간 활동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장기적인 기후 패턴의 변화
ㅇ 온실가스 (GHG) : 대기 중에 열을 가두는 작용을 하는 기체 (예: CO₂, 메탄 등)
ㅇ 재생 에너지 : 태양광, 풍력 등 고갈되지 않는 에너지 자원
ㅇ 생태 발자국 (Ecological Footprint) : 인간이 소비하는 자원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
6. 일반 및 기타
ㅇ EIA (환경영향평가) : 개발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는 제도
ㅇ 지속가능한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 : 현재 필요를 충족하면서 미래 세대 자원도 보장
ㅇ 환경 독성 (Environmental Toxicology) : 화학물질이 생물과 생태계에 미치는 유해성 연구
ㅇ 생태계 서비스 (Ecosystem Services) : 자연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유·무형 혜택
ㅇ LCA (Life Cycle Assessment) : 제품,서비스의 환경영향을 전 과정(생산~폐기)에 걸쳐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