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과 염기의 일상적/통상적인 특징
ㅇ 산 (Acid)
- 신 맛이 남
- 리트머스 반응 : 푸른색 -> 붉은색
- 페놀프탈레인 용액 : 무색을 띔
- 반응성 강한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 기체(H2)를 발생
. 알루미늄,아연 같은 활성 금속(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큼)과 반응하여 수소 기체 발생
- 염기와 중화 반응 (그 독특한 성질을 잃음)
- 어떤 유기화합물을 독특한 색으로 바꾸는 등
- 例)
. 아세트산(CH3COOH), 구연산(H3C6H5O7), 인산(H3PO4)
. 식초,오렌지,베터리 등은 산성 수용액
ㅇ 염기 (Base, Alkali)
- 쓴 맛
- 미끈미끈한 촉감 (단백질을 녹이는 성질이 있음)
. 例) 하수도관의 막힌 곳을 뚫는 약품 등
- 리트머스 반응 : 붉은색 -> 푸른색
- 페놀프탈레인 용액 : 붉게 변화시킴
- 산과 중화 반응 (그 독특한 성질을 잃음)
- 어떤 유기화합물을 독특한 색으로 바꾸는 등
- 염기성을 띈 물질을 모두 알칼리(Alkali)라고도 부름
- 例)
. 수산화 소듐(NaOH), 암모니아(NH3), 탄산수소 소듐(NaHCO3)
. 붕사,베이킹소다,제산제 등을 물에 용해시키면 염기성 용액이 얻어짐
ㅇ 중화 반응 (Neutralization) => 염(Salt,鹽) 생성
- 산과 염기와의 화학반응 (보통, 발열을 동반함)
- 이때, 생성물의 하나로써 이온결합화합물을 생성 : `염(Salt,鹽)`
. 즉, 산과 염기가 반응을 일으킬 때, `물`과 함께 짠 맛의 `염(Salt,鹽)`이 생성됨
- 결국, 염(Salt,鹽)이란, 금속의 양이온과 비금속의 음이온이 결합된 이온 화합물
. 例) HCl + NaOH → NaCl (염) + H2O (물)
ㅇ 짝산-염기쌍 (Conjugated Acid-Base Pair)
- 산은 짝 염기, 염기는 짝 산이 대응하며 존재
2. 산 (Acid, 酸)
ㅇ 물에 녹을 때(수용액에서 이온화할 때),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
- 수용액에서는,
. 산에서 내놓은 수소 이온(H+)이 물 분자와 결합하여,
. H3O+(하이드로늄 이온)을 생성
- 수소와 1 이상의 비금속으로 결합되어있음
ㅇ 이성분 산의 명명법
- 음이온으로부터 명명됨
. 접두사 `hydro-`를 붙이고,
. 음이온 접미사 `-ide(-화)`를 `-ic(화수소산)`로 바꿈
- 例) HCl(aq) : H(Hydrogen) Cl(Chlorine) => `hydrochloric acid` `염화수소산(염산)`
. 기체 HCl (g) 은 산이 아니고, 물에 녹아있는 HCl (aq) 이 산이 됨
3. 염기 (Base, 鹽基)
ㅇ 물에 녹을 때, 수소 이온(H-)을 받는 물질
- H+ 이온을 받으며 이에 반응하는 물질
. 염기는 물 속에서 OH-(수산화 이온)를 생성함
ㅇ 한편, 알칼리(Alkali)는,
- 주로, pH 7 이상의 염기성을 띠는 물질을 총칭
- 때론, 수용액이 염기성을 나타내는 것 (물에 녹는 염기)
- 주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원소의 수산화물을 지칭함
4. 산과 염기의 정의
※ ☞ 산 염기 정의 참조
- 아레니우스(Arrhenius)의 정의 (비록, 수용액일 경우 만 가능하지만, 빠르고 단순한 정의)
- 브뢴스테드-로우리(Brønsted-Lowry)의 정의 (비 수용액에서도 가능한 정의)
- 루이스(Lewis)의 정의 (보다 더 일반적인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