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G 용어
ㅇ 5G use case 셋(3)
-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 향상된 광대역 이동통신 능력
- URLLC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 초 고 신뢰성, 초 저 지연
-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 대규모 기기 연결 기반
ㅇ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 사물,기계 간 종단간 연결성 제공
. mMTC (massive MTC) : 매우 많은 수의 단말(센서,엑추에이터 등) 연결
. cMTC (critical MTC) : 추가적으로, 높은 안정성,가용성 요구 (교통 안전,중요 인프라 등)
ㅇ NSA, SA
- NSA (Non-Standalone) : 기존 4G LTE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 SA (Standalone) : 5G 코어 네트워크만으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방식
ㅇ 5G NR (New Radio)
- 5G 이동통신을 위한 새로운 무선접속 규격
ㅇ NG-RAN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 5G 무선 접속망
- 5G NR(New Radio)과 LTE 기지국(eNodeB/gNodeB)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망
ㅇ 5GC, 5GCN (5G Core Network) : 5G 코어망
- 기존 EPC에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향상된 3개 기능 부여
. 서비스 기반의 아키텍처, 네트워크 슬라이싱 지원, 제어평면/사용자평면 분리
ㅇ NF (Network Function)
- 5GC를 구성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들
ㅇ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 네트워크 슬라이스
- 다양한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맞춤 충족하기 위해,
- 네트워크 자원,서비스를 가상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적 개념
ㅇ NB - IoT (Narrowband IoT) (기존 LTE 기반)
- 3GPP에서 정의한 저 전력 광역 통신 (LPWAN) 기술의 하나
. 기존 LTE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 소량의 데이터, 긴 배터리 수명, 넓은 커버리지를 필요로 하는 IoT 서비스에 최적화킨 기술임
- 표준화 : 3GPP Release 13 (2016년)부터 도입
- 속도 : 수십 kbps
- 운용 대역폭 : 200 kHz 이내 좁은 협대역에서 운용 (특히, 보호대역 내에서도)
- 운용 유형 : standalone, guard-band, inband
. Standalone : GSM 대역 등 기존 셀룰러 비사용 주파수 (例: 700/800 MHz) 단독 사용
. Guard-band : LTE 주파수 사이에 있는 보호대역(guard band)을 활용
. In-band : 기존 LTE 채널의 하나의 자원 블록(1 RB, 180 kHz) 내에서 운용
- 응용 분야 : 실시간성 보다는 주기적, 소량의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분야에 적합
ㅇ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 embedded SIM (eSIM)
. 초기에는 계약 프로파일을 기기에 내장하나, 후에 원격으로 변경 가능함
. 주로, 원격 설치/제어되는 IoT 기기용
- Dual SIM
. 2개의 서로다른 사용자 정보(전화번호,사업자 등)로 가입 후, 이 둘을 동시에 작동 가능케 함
ㅇ 5G 주파수 분배
- WRC 2015 : 694 ~ 790 MHz (전세계), 3400 ~ 3600 MHz (ITU Region 1, ITU Region 2)
- WRC 2019 : 24.25 ~ 27.5, 37 ~ 43.5, 45.5 ~ 47, 47.2 ~ 48.2, 66 ~ 71 GHz
ㅇ 5G FR (Frequency Range)
* 5G NR의 폭넓은 스펙트럼 유연성 때문에, 3GPP Release 11부터,
. 스펙트럼을 다음과 같이 크게 두 영역으로 구분함
- FR1 : 410 ~ 7125 MHz (기존 6 GHz 이하 대역)
- FR2 : 24.25 ~ 52.6 GHz (직진성이 강한 새로운 mmWave 대역)
* (한국은, FR1에서 3.5 GHz, FR2에서 28 GHz 대역에서 5G용으로 사용 중 ☞ 전파누리 참조)
ㅇ 5G 전송 채널 (Transport Channel) ☞ LTE 전송채널 참조
- 하향 링크 전송 채널 : DL-SCH, PCH, BCH
- 상향 링크 전송 채널 : UL-SCH
ㅇ Numerology (유연한 전송 구조 : Flexible Numerology, Multiple Numerology)
- 다양한 주파수 대역폭 요구 사항과 서비스 특성에 적응키 위한, 유연한 OFDM 파라미터 세트
ㅇ Massive MIMO (대규모 다중입출력)
- 복수의 안테나(통상, 64개 이상)를 활용하여, 많은 사용자에게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 주요 기술 적용 : 복수 안테나 사용, 공간 다중화를 통한 용량 증대, 빔포밍을 통한 신호 집중
- 5G 핵심 기술 중 하나 :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특히 중요하며, 초고속,초저지연 구현에 필수적
ㅇ V2X (Vehicle to Everything)
- 차량이 주변 환경과 통신하여 안전성과 교통 효율성 등을 향상시키는 기술
. 직접 통신 : V2V (차량 간), V2I (차량 대 인프라 간), V2P (차량 대 사람 간)
. 네트워크 경유 통신 : V2N (네트워크를 경유하며, 차량 대 차량,사람,인프라)
ㅇ 엣지 컴퓨팅 (Edge Computing)
- 데이터 필요 장소 가까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
.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네트워크의 끝단에서 처리하여,
. 지연 시간을 줄이는 분산 컴퓨팅 기술
- 장점 : 빠른 응답, 네트워크 대역폭 절약
- 단점 : 분산 구조 관리 필요
- 등장 배경 : 데이터 폭증, 실시간 처리 필요성 증대, 데이터 프라이버시 강화 등
- 활용 분야 : IoT, 자율 주행,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AR/VR, 의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