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 네트워크 슬라이스 (Network Slice)
ㅇ 다양한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맞춤 충족하기 위해,
- 네트워크 자원,서비스를 가상적으로 분리 제공하는 기술적 개념
* 즉, 단일 공통 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 위에,
. 각각의 응용 서비스 마다, 서로 달리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요구사항(특성)에 맞추어,
. 유연하게 가상적으로 개별 논리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 필요에 따라, 최적화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
2.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특징
ㅇ 각 슬라이스는 독립된 논리 네트워크 처럼 동작
- 서비스 목적에 따라, 대역폭,지연,신뢰성 등 다양한 네트워크 특성을 차별적으로 설정 가능
ㅇ 공통 물리 인프라를 공유하지만,
- 사용자 또는 서비스 관점에서는, 자신의 전용 네트워크처럼 보임
ㅇ 자신만의 정책 설정 가능
- 슬라이스 오너는 자신만의 리소스 정책, 보안 정책, 서비스 흐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슬라이스의 수명 주기 관리도 가능
3.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기술 구성 요소
ㅇ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 전통적으로 하드웨어 기반이던 네트워크 기능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가상화하여,
유연한 배치 및 확장을 가능케 함
ㅇ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 네트워크 트래픽을 중앙에서 제어하고 동적으로 조정 가능
. 제어와 데이터 평면의 분리를 통해, 중앙집중식 네트워크 제어를 가능케 함
. 슬라이스 간 트래픽을 동적으로 분리 및 제어, 경로 최적화 수행 등
ㅇ 5G Core Network
-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구현하는 핵심 망 요소
ㅇ MANO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 ETSI NFV에서 정의된 관리 프레임워크
. 슬라이스 수명주기 관리, 리소스 오케스트레이션, 정책 기반 운영을 지원
ㅇ Slice Manager / Orchestrator
- 각 슬라이스에 필요한 자원(CPU, 메모리, 대역폭 등)을 할당하고 최적화
. 슬라이스 생성, 삭제, 확장, 축소 등의 기능을 총괄적으로 조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