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2X   Vehicle to Everything   차량 사물 통신

(2025-11-11)

차량 간 통신


1. V2X (Vehicle to Everything)

  ㅇ 차량이 주변 환경과 통신하여, 안전성과 교통 효율성 등을 향상시키는 기술
     - 차량 - 환경 통합 지능 통신 생태계 (V2V + V2I + V2P + V2N의 통합)

  ㅇ 배경
     - 본래, 공공 안전과 교통 효율 개선을 목적으로 시작
     - 3GPP Release 12에서, D2D (Device-to-Device,Sidelink Communication : 단말간 직접 무선 연결)
       형태로 등장
     - 후에, 이를 자동차 영역으로 확장한 것이 V2X
     - 3GPP Release 16 부터, 본격적으로 5G 기반 V2X (NR V2X) 기술이 표준화됨

  ※ 사실상,
     - 센서 기술, 컴퓨터 제어 기술, 빅 데이터, AI 기술 등 융복합 기술이 총체적으로 요구됨


2. V2X 자동차통신 방식의 종류

  ㅇ 직접 통신
     - V2V (차량 간)  :  충돌 방지, 차간 거리 유지, 비상 경고 등
     - V2I (차량 대 인프라 간)  :  신호 정보 수신, 교통 흐름 제어 등
     - V2P (차량 대 사람 간)  :  보행자 보호, 사각지대 안전 경고 등
  ㅇ 네트워크 경유 통신
     - V2N (네트워크를 경유하며, 차량 대 차량,사람,인프라 간)
        . 실시간 교통 정보, 지도 업데이트, 원격 제어3. [참고사항]  (비교)

  ※ [범례  :  ① LTE - V2X,  ② 5G NR - V2X,  ③ DSRC (IEEE 802.11p 등)
  ㅇ 표준  :  ① 3GPP Rel. 14~15,  ② 3GPP Rel. 16 이후,  ③ IEEE 802.11p 등
  ㅇ 대역폭  :  ① 중간,  ② 넓음,  ③ 좁음
  ㅇ 지연시간 (Latency)  :  ① 수 ms,  ② 1ms 이하,  ③ 10ms 내외
  ㅇ 특징  :  ① 상용화 쉬움, 기존 LTE 기반,  ② 초 저 지연,초 신뢰성 (uRLLC), 5G 자율주행용, 
              ③ 단거리, 고속 이동 시 제한적

5G
1. 5G (IMT-2020)   2. 5G 용어   3. 5G 코어망   4. 5G 스케줄링   5. Numerology   6. 네트워크 슬라이싱   7. V2X (차량 사물 통신)   8. NG-RAN   9. 엣지 컴퓨팅   10. 5G QoS 모델   11. NB-IoT   12. RRC 상태 기반 이동성 지원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