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드 (Mode)
ㅇ [일반] 반복적/빈번한/지속적/관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행위/양식/태도/기호 등을 의미
- 어원 : 라틴어 `Modus`에서 유래
* 통상, 관행적, 유행적 행태를 말함
ㅇ [확률/통계] 최빈값
- 자료 중 그 빈도가 가장 많은 (가장 자주 등장하는) 값을 나타내는 통계량
. 例) 데이터 {1,2,2,3,4}에서 최빈값(mode)는, : 2
ㅇ [파동] 파동이 특정 양상을 띔
* 구조물 형태 및 매질 특성에 의존하며, 특정 주파수에서 파동 에너지의 집중/전파
- 전파 모드(Propagation Mode) : 전송선로,도파관,광섬유 등에서 에너지의 전파 형태
. ☞ 도파관 전파모드(TE 모드,TM 모드),
광통신 전파모드(MMF,SMF) 등 참조
- 공진 모드(Resonant Mode) : 공간적으로 한정된 영역에서의 에너지 집중 형태
* 일반적으로,
. 파동방정식 일반해에 특정한 경계조건이 주어지면,
.. 특정 이산적인 해(파동함수)들 만이 존재함
. 따라서, 주어진 경계조건에서 특정 파장(진동수)의 파동들 만 허용(양자화)되며,
. 이런 파동들을 일컬어, 정규 모드(Normal Mode)라고 함
ㅇ [진동 (결합 진동/다 자유도계)] 여러 질량체를 갖는 계에서의 복잡한 운동 패턴
- 정규 모드 (Normol Mode) : 다 자유도계의 결합 진동에서 여러 좌표들 간에 일정한 의존 관계
- 모드 형상 (Mode Shape) : 각각의 고유진동수에 대응하며 진동하는 변형 형상을 의미
- 모드 해석 (Modal Analysis) : 계(系)의 응답을 고유 진동 모드의 조합으로 진동을 해석
ㅇ [공진회로] 주파수응답 상에서, 첨두 진폭(최대값)을 보이는 주파수
- 고유 주파수 (공진 주파수) : RLC 회로 등이 특정 모드(양상 즉,주파수)에서 첨두 진폭을 보임
ㅇ [트랜지스터] 동작모드 (영역별 특정 용도 있음)
- BJT 동작모드 (활성 영역, 포화 영역, 차단 영역)
- MOSFET 동작모드 (포화 영역, 선형 영역, 차단 영역)
ㅇ [신호해석] 공통모드신호, 차동모드신호
- 차동 모드 신호 : 2개 쌍으로 된, 2개 도선 간의 신호 차이에 의한 신호
- 공통 모드 신호 : 2개 쌍으로 된 도선 상에서, 동일 크기 및 같은 위상으로 된 신호
ㅇ [암호화] 암호 운영 모드
- 블록 암호를 블록별로 반복하는 형태/방법
2. Modal (모달)
ㅇ [일반] 영어 Mode(모드)의 형용사형 : 특정한 작업 방식의/방법의/유형의 ~
- Mode(모드) : 반복적/빈번한/지속적/관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행위/양식/태도/기호 등을 의미
. 즉, 통상적, 관행적, 유행적 행태를 말함
ㅇ [감각 및 인식] 시각, 청각, 촉각 등 특정 감각 유형을 지칭할 때 쓰임
- `멀티 모달(multi modal)` 또는 `모달리티(modality)` 하면,
. 여러 감각적 입력(시각,청각 등)을 동시에 활용하거나,
. 다양한 감각 채널로부터 얻는 인상을 의미함
- 例) 멀티모달 학습 (그림,소리,텍스트 활용), 멀티모달 AI(텍스트,음성,이미지 등 융합 처리)
ㅇ [컴퓨터] UI 환경에서, 모달 창(modal window) 이라면, 부모 창의 작업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서,
- 해당 모달 창을 닫거나 처리해야만 부모 창 조작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
- 이의 반대는, 모델리스 창(modeless window)으로, 부모 창과 독립적으로 동시에 조작 가능
ㅇ [수학/통계]
- Modal value (모달 값) : 최빈값 자체를 가리킴
- Modal class (모달 계급) : 도수분포표나 히스토그램에서,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을 의미.
- Unimodal / Bimodal / Multimodal (단봉 / 쌍봉 / 다봉 분포)
. 확률분포나 히스토그램 등에서 봉우리(peak)의 개수를 설명하는 용어.
.. Unimodal : 최빈값이 하나 (정규분포 같은 단봉)
.. Bimodal : 봉우리가 두 개 (두 집단 섞인 분포 등)
.. Multimodal : 여러 개의 봉우리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