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FSK (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ㅇ 연속 위상 주파수 편이 변조 (CPFSK) 방식 중 하나     
     - FSK 신호 생성 전에, 
     - 먼저, 가우시안 필터로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신호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시킴),
     - 고주파 성분을 낮추고, 대역폭 효율적이게 함
  ㅇ 특징
     - 장점  :  대역폭 효율 ↑, 인접 채널 간 간섭 ↓
     - 단점  :  복조 시 약간의 성능 저하 가능 (비선형성에 민감)
        . 가우시안 필터로 인해, 심볼들이 넓게 퍼지며, 심볼 간 간섭 (ISI) 발생 가능 
  ㅇ 응용 사례  :  Bluetooth BR/EDR (1 Mbps 모드, GFSK), ZigBee, DECT 등
2. GFSK 신호의 표현
  ㅇ 일반적인 M진 FSK 신호 표현
      [# s(t) = A_c \cos\left( 2\pi f_c t + 2\pi k_f \int_{0}^{t} m(\tau)\, d\tau \right) #]
     - {#A_c#}  :  반송파 진폭
     - {#f_c#}  :  반송파 주파수
     - {#k_f#}  :  주파수 편이 상수
     - {#m(t)#}  :  GFSK인 경우에, NRZ 신호를 가우시안 필터에 통과시킴 
  ㅇ 가우시안 필터 미적용한 NRZ 신호의 경우, 주파수 편이의 급격한 변화 초래
     - {#f(t) = f_c + k_f \, m(t)#}
        . 비트가 1 이면, {#f(t) = fc + Δf#}
        . 비트가 0 이면, {#f(t) = fc − Δf#}
           .. {#Δf = k_f A_m#}  ({#A_m#}  :  NRZ 신호의 진폭)
  ※ 만일, 입력 NRS 신호에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면, NRZ 펄스 신호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만들어서, 
     - 주파수가 {#±Δf = ±k_f A_m#}로 급격히 변화 않고,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변하게됨
     - 이 부드러운 전이 덕분에, 전송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가,
     - 고주파 영역에서 빠르게 감소하여, 대역폭 효율이 높아지게됨
3. [참고사항]  가우시안 필터의 역할
  ㅇ 데이터 비트 간 전이를 부드럽게 하여, 급격한 주파수 변화를 억제함으로써, 대역폭 제한시킴
     - [참고]  가우시안 필터의 형태(모양)은, ☞ 가우시안 함수 참조
  ㅇ 성능 척도  :  BT (Product of Bandwidth and Bit period)
     - {#BT = B \cdot T_b#}
        . {#B#}  :  필터의 3dB 대역폭
        . {#T_b#}  :  비트 주기 (Bit Period)
     - BT ≈ 0.5  →  Bluetooth 등에서, 일반적인 사용 값 (대역폭 효율과 성능의 균형)
     - BT가 작을수록  →  대역폭 효율 ↑, 그러나 복조 오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