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확률/통계] 표본(Sample) 또는 표본점(Sample Point)
ㅇ 표본공간 상의 개별 원소 ☞ 표본 공간, 사건 공간, 확률 공간 참조
ㅇ 일반적으로,
- 조사대상이 되는 전체 모집단 또는 로트에 대하여,
- 샘플링(Sampling)을 통해 얻어지는,
- 확률 실험 결과 값들 (즉, 모집단의 부분집합)
2. [확률/통계] 표본 추출 (Sampling)
ㅇ 표본을 추출하는 행위
- 통상, 전수검사를 하기 어려워, 무작위 샘플링(표본화) 검사를 시행
ㅇ 조사 방법 ☞ 표본조사(샘플링법) 참조
ㅇ 표본추출 관련 오차 ☞ 표본오차,비표본오차 참조
3. [확률/통계] 표본 종류
ㅇ (작위적 표본추출) 확정 표본 (Judgement Sample)
- 분석자 견해에 따라 정해진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
. 단점 : 표본 오차(추정 오차)를 측정할 수 없음 (확률적 해석 불가)
ㅇ (무작위 표본 추출) 확률 표본 (Random Sample)
- 무작위로 추출된 표본
. 모집단 각 원소가 균등 확률로 추출된 표본
- 확률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 표본추출방법 참조
ㅇ (여러 모집단을 함께 고려할 때)
- 독립 표본 (Independent Sample)
. 집단별 표본 간에 상호 독립적인 관계임
. 집단 간에 구성 인자가 서로 상관없는 표본
. 표본들이 서로 아무런 관련없이 수집됨
- 종속 표본 (Dependent Sample), 대응 표본/짝진 표본 (Paired Sample)
. 집단별 표본 간에 상호 종속적인 관계임
. 집단 간에 구성 인자가 서로 짝을 지어 상호 연관된 표본
. 주로, 동일 대상에게, 사전,사후를 달리 처리 한 후, 달라진 효과를 평가할 때 사용
. 이를 짝진실험(Matched Pairs Experiment)이라고 함
* 독립표본,종속(짝진)표본인가에 따라, 검정,추정 방법이 달라짐
4. [확률/통계] 표본 통계량 및 표본 분포
ㅇ 표본 통계량 (Sample Statistic)
-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에 담겨있는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통계량
ㅇ 표본 분포 (Sample Distribution)
- 표본들 만으로 계산된 표본 통계량이 보이는 확률적 성질
5. [전기통신] 표본화 (Sampling)
ㅇ 표본 값 (Sampled Value)
- 연속신호를 표본화시켜 얻어진 이산값을 말함
* [참고] ☞ 순시 표본화, 자연 표본화, 평탄 표본화 참조
ㅇ 표본화 (Sampling)
- 연속신호를 일정간격으로 표본 추출하여 이산신호로 바꾸는 과정
* [참고] ☞ 표본화 정리, 표본화 주파수, ADC 등 참조
. 원 정보의 2배 이상의 속도로 표본화하면, 표본치들 만으로도 재생 가능 ☞ 표본화 정리 참조
. 표본화한 진폭을 다음 표본화시까지 유지 ☞ 샘플 유지 회로 참조
. 표본화 최초 상용 기술 ☞ PCM 참조
.. 例) 전화 (G.711) : 표본화주파수 8 kHz, 주파수대역 300~3,400 Hz, 양자화비트수 8 비트
. 표본화 및 양자화 비교 ☞ 표본화 양자화 비교 참조
ㅇ 한편, 필요 이하/이상으로, 적게 or 많게 표본화하는 경우
- 필요 이하/이상 ☞ 시간 척도 변환 (다운 샘플링, 업 샘플링) 참조
- 지나치게 많게 ☞ 과 표본화 (오버 샘플링)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