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사방법(Sampling Method)의 구분
ㅇ 전수 조사 (Census, 100% Inspection)
-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
. 例) 대상수가 적거나, 인명 위험, 치명적 결점을 포함하는 경우 등에 시행
ㅇ 표본 조사 (Sample Survey, Sampling Inspection)
- [통계 분석]
.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을 추출하여 표본의 특성을 조사하고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
.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대표성을 갖는 표본(Representative Sample)을 만드는 것임
.. 표본이 특정 편향(선호도,규칙성 등)되지 않고 모집단과 같은 통계적 특성을 보여야 함
- [품질 검사]
. 로트로부터 시료를 추출하여 검사하고, 그 결과를 미리 정해둔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로트의 합격 또는 불합격 등을 판정하는 절차
ㅇ 간접 조사 (Indirect Survey)
- 관찰의 주체가 관찰과 집계과정을 직접 행하는 것이 아니라,
- 다른 목적으로 관찰된 것을 현재 조사 목적에 간접적으로 이용하여 조사
2. 표본 추출/표본 조사/샘플링 조사 방법의 구분
ㅇ 확률 표본 추출 / 무작위 추출 (Random Sampling)
* (표본 요소가 가급적 무작위로 선택될 수 있도록 하여, 통계적 추론 적용이 가능케 함)
- 단순 무작위 추출 (simple random sampling)
. 난수표 등을 사용하여 각 원소를 균등하게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법
- 체계적 추출, 계통 추출 (systematic sampling)
. 무작위로 배열된 표본에서 체계적인 수단에 의해 표본 추출
..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본추출
. 例) 매 10번째, 100번째 추출 등
- 층화 추출 (stratified random sampling)
. 모집단이 몇몇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각 계층 원소로부터 무작위 추출
. 例) 학년별,직급별,지역별,남녀별 등
- 집락 추출 (cluster sampling)
. 모집단이 여러 집단을 이룰 때, 우선 집단을 선택하고 그 집단에서 표본을 추출
.. 서로 다른 원소들이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 형태
- 다단계추출 (multi-stage sampling)
. 여러 단계로 나누어 샘플링 수행
ㅇ 비 확률 표본 추출
* (조사자의 주관적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통계적 추론에는 적용하지 못함)
. 임의표본추출 (convenience sampling)
.. 연구자 임의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표본 요소를 추출
. 판단표본추출 (judgement sampling)
.. 연구자 판단에 의해 표본 요소를 선택 추출
. 할당표본추출 (quota sampling)
.. 모집단을 여러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자 판단에 따라 표본 요소를 추출
ㅇ 한편, 모집단에서 표본추출 후 해당 표본원소를 되돌리는지 여부에 따른 구분
- 복원추출 (sampling with replacement)
. 원소를 추출할 때 마다 모집단에 그 표본원소를 되돌려 놓는 표본추출방식
- 비복원추출 (sampling without replacement)
. 뽑혀진 표본원소를 모집단에 되돌려 놓지 않는 표본추출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