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ging (에이징, 老化)
ㅇ 노화(老化),열화(劣化),경년변화(經年變化),숙성(熟成) 등을 아우르는 "시간 의존적 변화 현상"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 품질, 기능 등이 점차 저하되거나, 또는 완숙되어가는 현상
ㅇ 특징
- 주로, 자연적 원인에 의한 변화
.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생물학적 특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침
- 분야별 의미
. 재료,기계공학 : 성능 저하, 재질 열화(劣化)
. 식품,발효학 : 숙성(熟成), 품질 향상
. 의학,생명과학 : 생명체의 기능적 저하 과정
2. [의학] 노화 (Aging, Senescene, 老化)
ㅇ 시간 흐름에 따라 생체의 조직,기능이 점차 약화되는 현상
ㅇ 특징
- 신체 기능의 점진적,전반적 손상
- 스트레스 적응력 상실 및 연령 관련 질병 위험 증가
- 여러 질병들이 복합된 산물
. 사실상, 노화와 질병은 밀접히 연관되어 구분이 어려움
ㅇ 노화의 원인
-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여,
- 크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식사,운동,생활습관 등)으로 구분
. 유전 (프로그램된) 이론 :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내부 시계에 의함
. 환경 (확률화된) 이론 : 우연한 오류와 손상의 누적에 의함
- 통상, 원인 규명을 위해,
. 크게, 세포 노화, 개체 노화로 구분시켜 진행
- 노화설 : 사실상, 수백개의 이론들이 존재함
. 면역설, 생화 대사율설, 스트레스설, 생물 시계설, 내분비설, 뇌의 노화설 등
ㅇ 노화의 생물학적 변화 例)
- 세포 수 감소, 근육량 감소
- 세포 내 수분 감소
- 피부 표피 건조
. 피부 표피 수분 감소 (건조해지고 거칠어짐)
. 피부기름샘이 피지를 덜 생산해서, 피부 건조 및 가려움증
. 주름(wrinkle) : 피부건조,얇아짐,늘어짐,탄력성 감소(아교질/콜라겐 줄어듬) 등으로 인함
- 피부 진피 위축
- 체지방량 감소
. 피부밑 피하 지방은 감소하나, 복부 지방은 증가
- 기초 대사율 감소
- 대뇌피질 두께 감소 등 뇌 크기 축소
- 신경 전달 속도의 감소
- 시력,청력 저하
- 수정체 탄성력 저하(노안), 동공 크기 감소, 눈의 순응 능력 저하, 눈물 생성량 감소
- 신장 혈류의 감소, 폐활량 감소
- 심장 판막의 비대 및 약화, 심박수 감소 및 불규칙(부정맥), 동맥벽이 딱딱해짐(동맥경화)
- 침 분비량의 감소 (침샘의 위축과 섬유화)
- 뼈가 점차 가늘어지고 약해짐
. 골감소증 : 30,40대부터 진행
- 키가 작아짐
. 골밀도,연골층 감소, 추간판 축소, 척추만곡 등
. 대개 하체 먼저 감소 후에 상체도 감소
- 상호 관련 있거나 상호 관련 없는 여러 질환들의 공존 등
ㅇ 노화의 구분
- 1차 노화 : 불가피한 `생리학적 노화`
. 노화에 따른 신체 구조,기능 상의 변화 만 있고, 질병은 없는, 다소 이론적인 상태
- 2차 노화 : 질병,나쁜 생활습관,환경 요인 등 `병적 노화`
3. [의학] 노화 학문
ㅇ 노화학, 노인학, 노년학 (gerontology)
- 노화의 기전을 연구
- 노인의 임상적,심리적,사회적,경제적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탐구하는 학문
ㅇ 노인병학, 노인 의학 (geriatrics, geriatric medicine)
- 일반 의학 분야로써, 노인 질병의 예방,진단,치료 및 노화의 생리를 다룸
ㅇ 제로사이언스 (Geroscience)
- 노화와 질병의 생명과학적 연계성 연구 (분자,세포 수준)
4. [의학] 기관계통별 노화
ㅇ 피부 노화
- 유형 : 내인성 노화, 외인성 노화
- 기능 저하 요소
. 피부 면역 기능, 세포 교체율, 진피 청소율, 혈관 반응, 감각, 땀,피지 분비, 비타민 D 합성
ㅇ [참고] 기능 저하 폭 비교
- 변화 작음 : 신경 전도 속도, 기초 대사율 등
- 변화 큼 : 심장, 신장, 호흡기 기능 등
5. [의학] 노인병 범주
ㅇ 노인에 많은 질환
- 고혈압, 당뇨병, 뇌졸증, 심장 질환, 암, 만성 폐질환,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등
ㅇ 노인 특유 질환
- 노인성 치매, 노인성 골다공증, 노인성 백내장, 노인성 난청 등
ㅇ 퇴행성 신경 질환
- 치매, 파킨슨병 등
ㅇ 현대적 개념
- 과거에 질병 범주에 포함되지 않던 노화 현상 그 자체가,
- 치료,관리를 요하는 질환으로 분류되기도 함
6. [의학] 분야별 구분
ㅇ 인구학적 구분 : (고령화 단계)
- 고령화 사회 (aging society) :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7% 이상
- 고령 사회 (aged society) :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14% 이상
- 초고령 사회 (super-aged society) :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
- 인구 고령화 지표 : 고령화율, 평균 수명, 노년 부양비 등
ㅇ 건강학적 구분 : (삶의 질과 건강 지표)
- 건강 수명 (healthy life expectancy)
. 일상생활 자립이 가능하며, 질병,장애 없이 건강하게 살아가는 기간
. 평균수명에서 질병,부상으로 몸이 아픈 기간을 제외한 것
- 평균 수명 (average life span) : 한 국가,집단에서 태어난 사람의 기대 생존 연수
- 활동 수명 (active life expectancy) : 신체활동,사회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
ㅇ 의학적,임상적 구분 : (노인 상태의 평가)
- 노쇠, 허약, 쇠약 (frailty)
. (늙어서) 쇠약하고 기운 없음을, 특정 기준에 따라 규정화시킨 증후군
. 例) 프리드(Fried) 기준
.. 체중 감소,탈진(기력 감소),근력 감소,보행 속도 감소,신체활동 감소
- 병적 노화 (pathological aging)
. 질환이나 생활습관에 의해 가속된 노화 상태
ㅇ 생명,연구학적 구분 : (기초 및 응용)
- 노화 생체 지표 (biomarker of aging)
. 세포 손상, 염색체 말단(텔로미어) 단축, 호르몬 변화, 단백질 변성 등
- 백세인(센티네리언) 연구 (Centenarian study)
. 장수인(100세 이상)의 유전적·환경적 요인 탐색
- 항노화 연구 (Anti-aging research)
. 노화 억제, 세포 회복, 대사 안정, 신경 재생 등 응용 생명공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