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골격계 (musculoskeletal system, 筋骨格系)
ㅇ 생체(인체)의 지지, 운동 등을 담당
- 신체에 형태를 부여하고,
- 다른 모든 조직의 무게를 지탱하며,
- 근육이 부착될 수 있는 곳을 제공하고,
- 근육과 연계된 지렛대를 형성하고,
- 근육의 수축을 움직임의 형태로 전환하며,
- 장기와 조직을 보호하는 등의 역할을 함
ㅇ 뼈, 관절, 근육 등으로 이루어짐
- 이외에도, 힘줄,인대,연골 등이 포함됨
2. 골격계 (skeletal system, 骨格系)
ㅇ 인체를 지지하는 200여개의 뼈로 구성됨
- 머리뼈 (skull, cranium, 두개골) : 뇌,얼굴을 감싸서, 틀 유지 및 보호 (22개 뼈)
. 뇌머리뼈 (뇌두개골, cranial bone) : 뇌를 직접 감싸며 보호 (6종 8개 뼈)
. 얼굴뼈 (안면골, facial bone) : 얼굴의 틀을 이룸 (8종 14개 뼈)
- 가슴우리 : 가슴을 둘러싸서 심장,폐 등을 보호
. 복장뼈(흉골)
. 갈비뼈(늑골)
- 척주 및 골반 : 몸을 지탱
. 5개 부위로 구성 : 목뼈(경추),등뼈(흉추),허리뼈(요추),엉치뼈(천추),꼬리뼈(미추)
.. 경추(전만곡선),흉추(후만곡선),요추(전만곡선)가 S자 모양을 함
.. 전만곡선 : 앞으로 휨, 후만 곡선 : 뒤로 휨
.. 요추 : 5개의 척추뼈로 구성되고, 천추(천골)을 통해 골반과 연결됨
. 추골
.. 각 추골(척주를 형성하는 단위 뼈) 사이사이에 추간판 연골(척추디스크)이 끼어있음
.. 이곳의 연골(물렁뼈)은, 충격을 흡수하고, 구부러지는 운동을 가능케 함
.. 추골의 앞쪽은 원기둥 모양이고, 고리 모양의 뼈가 세로로 이어짐
. 골반 : 허리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깔때기 모양의 골격 (볼기뼈,엉치뼈,꼬리뼈)
- 팔다리 부분 ☞ 팔 다리 뼈대 참조
. 팔,다리의 뼈들과 이들이 몸통뼈대과 연결되게 지지하는 이음뼈
ㅇ 골격의 이음매(연결부위)
- 움직이는 부위 : 가동 관절
. 턱 관절,어깨 관절,팔꿈치 관절,무릎 관절,고 관절 등
- 움직이지 않는 부위 : 부동 관절
ㅇ 골격의 하위 기관 : 뼈, 연골, 관절, 인대
3. 골격 근육
※ ☞ 골격 근육 (뼈대 근육) 참조
4. [참고사항] 관절, 인대, 힘줄, 연골 비교
ㅇ 관절 (articulation, joint, 關節)
- 골격을 형성하는 2 이상의 뼈들이, 서로 연결되어지는 부분을 통칭
ㅇ 인대 (ligament, 靭帶) : (뼈와 뼈를 연결)
- 뼈와 뼈를 연결시켜주는 강한 섬유성 결합조직
- 주로, 관절을 이루는 뼈 사이에 위치하며, 관절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성을 제공
- 질기며 탄력성 있고, 관절을 안정화시키며, 운동할 때 힘을 발휘 함
ㅇ 힘줄 (tendon) : (근육과 뼈를 연결)
- 근육의 일부이며, 근육을 뼈에 붙어있게함
ㅇ 연골, 물렁뼈 (cartilage, 軟骨)
- 뼈 끝에 붙어있는 무른 뼈
- 신경,혈관 조직이 없어, 산소,영양소가 연골을 싸고있는 연골막의 모세혈관에서 확산됨
- 뼈끼리 만나 움직일 때, 무게 등을 지탱해주고 충격을 완화해줌 (완충재 구실)
* 연골 구성 : 수분, 콜라겐, 히알루론산, 프로테오글리칸
5. [참고사항] 내골격, 외골격, 유체골격 비교
ㅇ 내골격 (endoskeleton)
- 몸 내부에 위치한 골격 구조
. 부드러운 조직 사이에 뼈와 같은 단단한 구조물이 파묻혀 있는 형태
- 근육이 뼈 바깥에 붙어 있어,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며, 성장에 유리함
- 例) 인간, 포유류, 조류, 어류 등 척추동물
ㅇ 외골격 (exoskeleton)
- 몸 바깥을 감싸는 단단한 골격
- 보호 기능이 강하고 수분 증발을 막아주나, 탈피를 통해 성장해야 함
- 例) 곤충, 갑각류(게, 새우 등), 거미류 등
ㅇ 유체골격 (hydrostatic skeleton)
- 체내 액체(체액)의 압력으로 형태와 지지력을 유지하는 구조
- 뼈나 껍질 없이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수축성 근육과 체액의 압력으로 운동
. 근육을 움직여 유체가 들어찬 부분의 형태를 바꿈으로써 몸의 형태나 움직임을 조절
- 例) 지렁이, 히드라, 해파리 등 연체동물이나 원생동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