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etite   식욕

(2025-07-21)

식욕 호르몬, 체성분, 비만, BMI, 체질량지수, 체지방, 혈당


1. 식욕 (Appetite, 食慾)음식물을 먹고 싶은 욕구


2. 식욕 중추 (appetite center) 

  ㅇ 위치  :  (시상하부에서 주로 이뤄지나, 다른 곳 대뇌피질,변연계,뇌간 등도 관여)

  ㅇ 섭식 중추 (feeding center)  :  공복감
     - 혈당치의 저하, 지방산 농도의 상승 등으로 자극 받음
  ㅇ 포만 중추 (setiety center)  :  포만감
     - 혈당치의 상승, 혈중 렙틴의 상승, 지방산 농도의 저하 등으로 자극 받음


3. 식욕 호르몬 (체중 조절 호르몬)

  ㅇ 그렐린 (Ghrelin)  :  위 (Stomach) 분비
     - 섭식 중추 자극 → 식욕 증가  (공복 시 분비 증가, 식사 후 감소)
  ㅇ 렙틴 (Leptin)  :  지방세포 (Adipocyte) 분비
     - 포만 중추 자극 → 식욕 감소  (체지방량 많을수록 분비 증가)
  ㅇ 인슐린 (Insulin)  :  췌장 β세포 분비
     - 포만 중추 자극 → 섭식 억제  (식후 혈당 상승 시 분비)
  ㅇ 펩타이드 YY (PYY)  :  소장 (특히 회장, 결장) 분비
     - 시상하부에 작용 → 식욕 억제  (식사 후 분비)
  ㅇ 콜레시스토키닌 (CCK)  :  소장 (십이지장) 분비
     - 포만감 유발, 위 배출 억제  (지방,단백질 섭취 시 분비)
  ㅇ 뉴로펩타이드 Y (NPY)  :  시상하부 분비
     - 강력한 식욕 촉진  (공복 시 활성화)
  ㅇ 알파-MSH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  시상하부 POMC 뉴런 분비
     - 식욕 억제  (렙틴에 의해 활성화)


4. 섭식 조절

  ㅇ 섭식 조절 고전 이론
     - 항당기설 (glucostatic theory) : 포도당 이용 정도에 따라 시상하부 중추에 의한 섭식 조절
     - 항지방설 (lipostatic theory) : 체지방 저장 신호가 뇌의 섭식 행동을 조절

  ㅇ 섭식 장애 (eating disorder)
     - 섭식 혹은 식이 행동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정신 장애
     - 주로,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지속하여 일어남
     - 유형 : 신경성 거식증, 신경성 대식증, 기타 섭식장애


5. 체성분 (body composition) 및 비만 지표

  ㅇ 체성분 관련
     -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 : 신장,체중을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방식
        .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비율 값
        . 즉, BMI =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 = (체중(kg)/신장(m2))
        . 例) 1단계 비만(과체중) > 25, 2단계 비만 > 30
     - 체지방량 (fat mass) : 몸 속에 있는 지방의 양
     - 근육량 (muscle mass) : 몸에서 무기질과 지방을 제외한 양
     - 제지방량 (lean body mass) : 지방을 제외한 모든 조직량

  ㅇ 비만 (obesity)
     -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
     - (국내기준 : 아시아-태평양 비만 진단기준) : (체질량지수,BMI) 25 ㎏/㎡ 이상
     - (복부비만,허리둘레) : 남성 90 ㎝, 여성 80 ㎝ 이상


6. [참고사항]

  ㅇ 혈당 (blood glucose, blood sugar)
     - 혈액포도당 농도
     - 혈당량 조절 호르몬 : 인슐린(낮춤), 글루카곤(높힘)

건강
1. 건강   2. 노화   3. 수면   4. 스트레스   5. 식욕   6. 영양   7. 운동   8. 치매   9. 눈질환   10. 죽음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