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용해 관련 용어
ㅇ 용해 (Dissolution)
- 용질이 용매와 고르게 확산되어 섞이는 현상 (녹는것)
. 용질이 용매에 녹아 용액을 형성함
- 용매화 (Solvation)
. 용해 발생시, 용질이 개별 입자(이온,분자,원자)로 분산(분리)되어,
용매 분자에 의해 둘러싸이는 현상
.. 例) 수화 (Hydration, 水化)
* 대부분의 화학 반응이 용액 상태에서 일어남
ㅇ 용해도 (Solubility) : S
- 포화 용액이 되기위한 용질의 최대량 (최대로 포함되는/녹을 수 있는)
. 포화 용액 : 용해된 용질의 양이 용해도와 같은 용액
. 과 포화 용액 : 용해된 용질의 양이 용해도 보다 큰 용액
. 불 포화 용액 : 용해된 용질의 양이 용해도 보다 작은 용액
- 용해 한도, 포화 용해도 (Solubility Limit)
. 용매에 용해되어 포함될 수 있는 용질 원자의 최대 농도
* 특정 조건에서 반응물이나 생성물이 얼마나 존재할 수 있는지를 예측
ㅇ 용해열 (Heat of Dissolution 또는 Heat of Solution 또는 Enthalpy of Solution)
- 용해할 때 발생,흡수되는 열 에너지 (전체 엔탈피 변화 / 반응 엔탈피)
. 몰 용해 엔탈피(Molar Enthalpy of Dissolution)
* 용해 과정의 자발성,흡열,발열 반응 여부의 이해 및 공업적 용해 공정을 설계에 필요
ㅇ 침전 반응 (Precipitation Reaction)
- 두 용액을 섞었을 때 불용성 생성물인 침전물이 생성되는 반응
. 침전물 (Precipitate) : 과 포화 용액에서 생성된 고체
* 불순물 제거, 정성,정량 분석(이온 분석 등), 혼합물 분리에 활용
ㅇ 총괄성 (Colligative Property)
- 용질 종류와는 무관하고, 용질 입자 개수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성질
. 삼투 현상 (Osmosis) : 반투막을 통해 용매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
. 라울의 법칙 (Raoult's Law) : 용액의 증기압 내림은 용질의 몰분율에 비례 함
* 삼투압,증기압,끓는점 상승,어는점 내림 등이 총괄성과 관련됨
ㅇ 완충 용액 (Buffer Solution)
- 산이나 염기를 소량 첨가하더라도 pH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용액
. 보통, 약산과 그 짝염기(또는, 약염기와 그 짝산)로 이루어짐
- 첨가된 H+ 또는 OH- 이온을 중화시켜 pH 변화를 억제
- 例) 아세트산(CH3COOH) + 아세트산 나트륨(CHCH3COONa)
* 생체 내 항상성 유지, 산업 공정에서 pH 조절 등에서 필요
ㅇ 고용체 (Solid Solution)
- 균질 혼합물을 이루는 고체 (용질과 용매 모두 고체)
* 합금, 반도체 등 재료과학에서 물질의 성질(전도성,강도 등)을 제어
ㅇ 전해질 (Electrolyte)
- 용매에 녹아 이온화되어서 이온 이동에 의해 전류를 통할 수 있는 소금과 같은 물질
* 전기화학(전지,전해,생체 이온 전달 등)의 이해와 응용에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