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por Pressure   증기압

(2025-05-12)

Saturation Vapor Pressure, 포화 증기압, 이슬점 온도


1. 증기압 (Vapor Pressure)액체 표면 층에 존재하는 기체 분자들이 갖는 압력
     - 이는, 물질기체 분자 압력을 이겨내고, 기체 상태로 변하려는 역 성향을 나타냄

  ㅇ 결국, 주어진 온도에서, 증기가 되는 (끓게되는), 특별한 압력
     - 즉, 액체증기압이 외부 압력(대기압)을 넘어서면, 액체가 끓기 시작함
        . 대략, 20 에서, 증기압은 대기압의 0.02 배 정도
        . 한편, 대기압이 낮은 곳에서는, 물의 끊는 점도 낮아짐

  ㅇ 의존성
     - 온도에 따라 달라짐 
        .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기압이 커짐 (분자들의 운동에너지가 증대되므로)
     - 분자 간 인력에 의존함    
        . 분자 간 인력이 크면, 증기압이 낮고, 
        . 분자 간 인력이 작으면, 증기압이 높음
           .. 온도가 같으면, 분자 간 인력이 작은 물질에서, 증기 압력이 큼 
     - 부피에는 무관

  ㅇ 증기곡선
     - 증기압을 온도함수 p(T)로 표현하는 곡선  


2. 포화 증기압 (Saturation Vapor Pressure) 증발(액체기체)과 응축(기체액체)이 균형(상 평형)이 일어나는 압력

  ㅇ 즉, 어떤 특정 온도에서, 
     - 액체 기체  간에 상 평형을 이룰 때, 그 기체 이 갖는 압력
     - 액체기체평형 상태를 이루며 증발이 멈출 때, 증기가 갖는 최대 압력
     - 공기수증기를 더 이상 흡수할 수 없는 상태증기압

  ㅇ 만일, 물이 끓을 때  :  (증발 = 응축)

  ㅇ 한편, 
     - 포화 증기상태에서는 (상대 습도 100%), 
        . 공기가 더 이상 수증기를 추가로 흡수할 수 없으며,
        . 만약 추가될 경우, 응결이 발생하게 되어 이슬 등이 생성됨

  ※ [참고]
     - 습도 (Humidity)  :  포화 증기압 하에서, 공기 내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
     - 이슬점 (Dew Point)  :  공기가 일정 압력 하에, 냉각,포화되면서,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
     - 비등점 (Boiling Point)  :  액체 증기압이 외부 압력(주로, 1 atm 대기압)과 같아지는 온도

(기타)
1. 증기   2. 증기압   3. 초 임계 유체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