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por   증기

(2025-04-18)

Water Vapor, 수증기, Subcooled Liquid, 과냉액, 과냉각 액체, Compresses Liquid, 압축 액체, Saturated Liquid, 포화 액체, Saturated Vapor, 포화 증기, Superheated Vapor, 과열 증기


1. 증기 (Vapor, 蒸氣)

  ㅇ 통상, 상온에서 액체,고체물질이,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
     - 일정 압력에서 온도를 낮추거나 (냉각), 
     - 일정 온도에서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압축), 
     - 쉽게 응축(고체,액체)될 수 있는 기체 상태

  ㅇ 즉, 
     - 포화 영역에 가까워서, 응축할 가능성이 높은 기체상태 
     - 임계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 있는 기체 상(相)
        . (임계 온도 : 이 온도 이상에서는 기체액체로 될 수 없음)

  ㅇ 例) 수증기, 내연기관 내 휘발유 증기 등
     - 수증기 (Water Vapor)  :  기체 상태 
     - 휘발유 증기 (Gasoline Vapor)  :  내연기관 내 연료가 기화 상태(증기)이어야 연소가 잘 일어남


2. 액체 (과냉각액, 압축액, 포화액), 증기 (포화 증기, 과열 증기), 기체 비교

  ㅇ 항상 응축 상태에 있는 액체 상(相)  :  액체 (Liquid)
     - 쉽게 증발하지 않는 액체  :  과냉각액,과냉액 (Subcooled Liquid), 압축액 (Compresses Liquid)
        . 주어진 압력에서, 포화 온도 보다 낮은 온도액체  :  과냉각 액체
        . 주어진 온도에서, 포화 압력 보다 낮은 압력액체  :  압축 액체
     - 쉽게 증발하려는 액체  :  포화 액체 (Saturated Liquid)
        . 포화 온도포화 압력에서, 액체로 존재할 때

  ㅇ 거의 응축 상태에 있는 기체 상(相)  :  증기 (Vapor)
     - 쉽게 응축될 수 있는 증기  :  포화 증기 (Saturated Vapor)
        . 포화 온도포화 압력에서, 증기로 존재할 때
     - 잘 응축하지 않고 증발되기 쉬운 증기  :  과열 증기 (Superheated Vapor)
        . 포화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있을 때의 증기 
        . 과열 증기에서는, 압력온도가 서로 독립 상태량 임 
           .. (일정 압력 하에서도 온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ㅇ 실온에서도 완전 기체 상(相)  :  기체 (Gas)
 

3. [참고사항]증기압 (Vapor Pressure)  :  액체 표면 층에 존재하는 기체 분자들이 갖는 압력

  ㅇ 건도 (quality)
     - 포화 온도에서 일부는 액체, 일부는 증기로 존재할 때, 혼합물 전체 질량에 대한 증기 질량의 비
        . x = m증기 / m전체
     - (특징)
        . 강성적 상태량 임
        . 물질포화 상태(포화 압력, 포화 온도)에 있을 때 만 의미가 있음

(기타)
1. 증기   2. 증기압   3. 초 임계 유체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