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ine   의학

(2025-02-15)

의료, 처방


1. 의학 (Medicine, 醫學)인체 질병의 예방,진단,치료를 연구하는 학문
  ㅇ 크게보아, 기초의학,임상의학(내과계,외과계)으로 구분 즉, 학문 뿐 아니라 의료가 포함됨


2. 학문 분야

  ㅇ (이수 필수  :  분자 생물학, 세포 생물학, 유기 화학 등)

  ㅇ 기초 의학
     - 해부학 (Anatomy)  :  형태학적 구조를 고찰하는 학문
     - 병리학 (Pathology)  :  질병의 원인,영향,발병원리,분류 등을 연구하는 학문
     - 생리학 (Physiology)  :  생물학적(생명체의) 기능에 대한 연구
     - 약리학 (Pharmacology)  :  약물생체 투입에 따른 반응을 연구하는 생화학
     - 면역학 (Immunology)  :  생물체의 면역을 다루는 학문
     - 조직학 (Histology)  :  세포,조직,기관의 미세 해부학을 이해하고, 구조와 기능을 연관시킴
     - 생화학 (Biochemistry)  :  생명체 내 복잡한 화학반응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
     - 미생물학 (Microbiology])
     - 기생충학
     - 유전학
     - 예방의학 (Preventive Medicine)  :  개인 차원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
     -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  일반 대중의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

  ㅇ 임상 의학
     - 핵심 과목
        . 내과학 (internal medicine)
        . 외과학 (surgery)
        . 소아청소년과학
        . 산부인과학 (obstetrics and gynecology)
        . 정신건강의학 등
     - 비핵심 과목
        . 응급의학 (emergency medicine)
        . 신경학 (neurology)
        . 가정의학 (family medicine)
        . 핵의학 (nuclear medicine)


3. [참고사항]

  ㅇ 현대 의학의 질병에 대한 접근 방식 : 진단과 치료 중심
     - 진단 (diagnosis) : 사실상, 가장 알맞는 치료법을 선택하려는 프로세스
     - 치료 (treatment / therapy) : 질병의 관리 및 치유
     - 주요 치료 방식 : 약물과 수술 (항생제 처방, 외과 수술 제거 등)
     - 주요 부작용 : 만성 질환(고혈압,당뇨병,암,자가면역질환 등)의 유행

  ㅇ 의료 (medical treatment/care/attention, 醫療)
     - 질병의 예방,진단,치료 및 환자의 간호 등 제반 활동

  ㅇ 대증 요법 : 증상의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요법

  ㅇ 양생법 (養生法, Regimen for Health Preservation)
     - 전통 의학 관점에서, 건강의 유지, 질병의 예방, 수명을 연장하는 실천법
        . 전통 의학(특히, 동양 의학)에서 강조하는 개념으로, 
        . 신체적,정신적 조화를 이루어 건강을 증진하는 다양한 실천법을 포함
        . 주로, 음식,운동,정신 건강,생활 습관을 조화롭게 관리해 나가는 것

  ㅇ 플라세보 : 위약, 가짜약

  ㅇ 악액질, 극도 쇠약 (cachexia, 惡液質)
     - 암, 결핵, 혈우병 등 말기에 두드러진 전신 쇠약 상태
        . (체중,체력의 감소, 빈혈, 소화 불량/식욕 부진, 염증 반응 등)

  ㅇ 처방 (prescription)
     - 환자의 질병이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의학적 지침
        . (약물,물리치료,식이요법,운동요법,생활습관교정 등)

  ㅇ 생명 징후 (vital signs)
     - 기본 : 심박수, 호흡수, 체온, 혈압
     - 보조 : 혈중 산소 포화도, 통증 등
     * 응급 상황 조기 발견, 질병 경과 감시, 치료 효과 평가 등에 핵심적으로 사용

의학
1. 의학   2. 해부학   3. 생리학   4. 면역학   5. 조직학   6. 약리학   7. 의공학   8. 예방의학 공중보건학   9. 검사 평가 의학   10.
병리학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