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ematical Logic   수리 논리, 수리 논리학

(2025-10-07)

Formal Logic, 형식 논리, Symbolic Logic, 기호 논리, 기호 논리학, Propositional Calculus, 명제 논리학


1. 논리(학)의 접근 방식 구분

  ㅇ 형식 논리(학) (Formal Logic)
     - 논리와 논증의 형식화에 중점 
        . 논리의 내용이 아니라, 형식(형태) 자체에 초점을 맞춤 (엄밀하게 다룸)
     - 활용  :  논증이 타당한지 여부를, 형식적 구조로 판단할 수 있도록 틀 제공

  ㅇ 수리 논리(학) (Mathematical Logic)
     - 논리수학적 취급
        . 논리의 엄격한 수학화를 통해, (논리수학적 표현, 논리의 계산 등에 의해)
        . 결론에 이르는 추론 논리과학화 영역
     - 추구 방향  :  논리의 계산 가능성, 정합성(consistency), 완전성(completeness) 등을 탐구함
     - 형식 논리와의 관계
        . 형식 논리가 제공한 틀을 토대로, 논리수학적으로 분석,확장

  ㅇ 기호 논리(학) (Symbolic Logic)
     - 기호를 사용한 논리의 표현화 (Formalization by symbols)
        . 기호를 사용하여 형식화시켜, 논증의 구조 그 자체를 대상으로 함
     - 방법  :  일반적인 복합명제수학적 기호로 취급 분석                    ☞ 논리 기호 참조
        . 기호를 사용하는 논리학의 한 분야로써,
        . 특히, 자연어에서 발생 가능한 모호성을 제거하고, 
        . 논리적 관계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2. 논리(학)의 비교, 의의, 발전

  ㅇ [비교] 
     - 형식 논리는, 논리의 구조를 형식화하는 틀 제공
     - 수리 논리는, 그 형식 체계를 수학적으로 분석,계산화
     - 기호 논리는, 그 틀을 기호로 표현하여 구체화

  ㅇ [의의]
     - 이들을 통해, 논리 규칙의 표현 능력과 정밀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 추상적 개념의 정확한 기술과 자동 추론이 가능해져,
     - 현대 수학, 컴퓨터 과학, 인공지능(AI) 등의 기반 이론으로 역할을 함

  ㅇ [발전]  논리학의 발전 방향  :  (형식화 → 수학화 → 기호화)


3. 논리의 명확한 취급(형식화)을 위한 3가지 필요(요구) 사항명제의 표현 형식
  ㅇ 명제 사이의 관계의 표현 형식
  ㅇ 다른 명제로부터 새로운 명제추론하는 방법의 기술/서술 형식


4. 논리(학)의 연구 대상  :  논리 대수학 (Logic Algebra)명제 논리학 (Propositional Calculus)
     - 명제논리적 대수이론 (형식화 이론)
        . 명제가 참 또는 거짓인가 알 수 있도록 형식화시킴

  ㅇ 술어 논리학 (Predicate Calculus)
     - 변수가 포함된 명제(문장)를 다룸

수리논리(논리기호 등)
1. 수리 논리학   2. 논리식   3. 조건 명제   4. 부정   5. 논리합,논리곱   6. 한정사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최근 편집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