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학] 동차성/비례성 (Homogeneity, Scaling)
ㅇ 동차성 (同次) 또는 비례성 (比例)
- 출력 크기가 입력 크기에 `단순 비례적`
. 원인이 α배 증가하면 효과도 α배로 증가함
. 즉, T[αx(t)] = αT[x(t)]
- 비동차성의 例) y(t) = a x2(t), y(t) -1 = x(t) 등
. `단순 비례적`이 아닌, `지수 비례적`, `상수 더하기(평행이동)` 등은 비동차성 효과
- [참고]
. ☞ 선형성 (중첩의 원리 = 가산성 + 비례성) 참조
. ☞ 기하학적 선형변환 (비례변환,유사변환) 참조
ㅇ 동차형 (同次) ☞ 아래 2,3 항 참조 (동차식, 동차 함수, 동차 미분방정식)
- 함수 또는 다항식에서 각 항의 차수(Degree)가 같은 것
ㅇ 제차형 (齊次) ☞ 아래 4,5 항 참조 (제차 미분방정식)
- 방정식의 우변이 0인 방정식 형태 (Homogeneous Equation)
2. [수학] 동차 함수(Homogeneous Function) 또는 동차 다항식/동차식(Homogeneous Expression)
ㅇ 함수 또는 다항식에서 각 항의 차수(Degree)가 같은 것
- 즉, 조건 f(λx,λy) = λn f(x,y)을 만족하는 것
- 例) f(x,y) = x2 + 3xy + y2 ⇒ f(λx,λy) = λ2x2 + λ2(3xy) + λ2y2 = λ2 f(x,y)
. 이 경우의 f(x,y)는, 각 항이 모두 2차인 2차 동차 함수 또는 동차 다항식 임
3. [수학] (1계 1차) 동차 미분방정식 (Homogeneous Differential Equation)
ㅇ M(x,y)dx + N(x,y)dy = 0
- 위 식에서 M(x,y),N(x,y)가 같은 차수의 동차 함수일 때
ㅇ 특징
- 동차 미분방정식은 y = ux 또는 x = vy와 같은 간단한 대수적 치환으로,
- 변수분리형 미분방정식으로 바꾸어서 풀 수 있음
ㅇ 풀이방법
- y=ux 를 이용하여 변수분리형 미분방정식으로 변화시킴
. y=ux 양변을 미분하면
. 한편, 미분방정식에 y=ux를 대입하면
. M,N이 n차 동차함수이면
. 이 식은 다음과 같이 변수분리형 미분방정식이 됨
- 또한, x=vy 를 이용하여 변수분리형 미분방정식으로 변화시키면
4. [수학] 제차 (드물게,동차 라고도 함) 방정식 (Homogeneous Equation)
ㅇ 함수 f(x1,x2,...,xn)에 대한 방정식 형태가 f(x1,x2,...,xn) = 0 인 것
- 즉,
. 방정식의 우변이 0인 방정식 형태
. 방정식 내 상수 항이 0인 방정식 형태
5. [수학] 제차 (드물게,동차 라고도 함) 미분방정식 (Homogeneous Differential Equation)
ㅇ n계 상미분방정식 형태 구분
- 표준형(standard) : 최고 계수(order) 항이 상수인 형태
. 즉, y(n) 항의 계수(coefficient)가 상수
- 제차형/동차형(homogeneous) : 위 방정식에서 우변이 0 인 형태
. 즉, R(x) = 0
.. 독립변수 x 만의 함수로된 항이 없는 경우
- 비 제차형/비 동차형(non-homogeneous) : 위 방정식에서 우변이 0 이 아닌 형태
. 즉, R(x) ≠ 0
.. 독립변수 x 만의 함수로된 항이 있는 경우
.. 여기서, R(x)는 종속변수 y 및 그 도함수를 포함하지 않고 독립변수 x 만으로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