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netization   자화

(2025-02-10)

자기화, Magnetization Vector, 자화 벡터


1. 자화 (Magnetization)자계 중에 놓여진 물체가 자성을 띄는 것
     - 외부 자계에 의해 자성체자기모멘트가 생기거나 반응(일정하게 배열)하는 것
     - 자기력에 의해 영향을 받아 자석 처럼 되는 것


2. 자화의 정의  :  자화 세기 (또는 자화 벡터)자기장 H에 의해, 매질 내부에 자기모멘트 m를 형성하는 정도를 나타냄

  ㅇ 자성체가 자화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한 벡터  :  M
     -   M =  limΔv→0  ( ∑m / Δv ) = χmH   [A/m]
        . 자기쌍극자모멘트체적 밀도
        . 단위 체적자기쌍극자모멘트벡터 합

  ㅇ 자화 단위 M  :  [A/m]
     -  자성체가 자화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

  ※ `유전체 분극` 및 `자성체 자화` 간의 비교
     - 분극  :  D = εE = ε0εrE = ε0(1+χe)E = ε0E + P   [C/㎡]
        .  P  :  전기쌍극자 벡터 합에 대한 체적 평균을 나타내는 분극 벡터의 크기
           ..  유전체에, 외부 전계에 의해, 전기쌍극자로써 분극되는 정도(크기)를 나타냄
     - 자화  :  B = μH = μ。μrH = μ。(1+χm)H = μ。(H + M)  [T(Tesla)]
        .  M  :  자기쌍극자 벡터 합에 대한 체적 평균을 나타내는 자화 벡터의 크기
           ..  자성체에,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기쌍극자로써 자화되는 정도(크기)를 나타냄


3. 자화 M, 자속밀도 B 관계B = μ。(H + M) = μ。(1+χm)H = μ。μrH = μH [T]
     - 진공중에서 M = 0, χm = 0, μr = 1, μ=μ。
        . (χm : 자화율, μ : 투자율, μr : 비투자율)

  ※ 위에서,
     - 자화 M은,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자성체 매질이 영향받는(자화되는) 특성을 반영함
     - 자속밀도 B은, 자화된 물질에서 비롯되는 (자기유도), 자속밀도4. 자화에 필요한 

  ㅇ 외부로부터 의 공급이 필요
     - 강자성체를 자화시키는 것은,
     - 내부 자기모멘트를 외부 자계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것이므로,
     - 이때, 이 필요함
         
[#W#]
자화
[# \; = \int^b_a \mathbf{H} \cdot d\mathbf{B} #]
. H : 외부 인가 자기장, B : 자기유도자속밀도량(量) : 자기 히스테리시스 곡선이 취하는 면적에 해당함 ㅇ 의 효과 : 에너지 변환되어 로 나타남 - 즉, 이 되어 강자성체 내에서 손실되며, 이를 히스테리시스 손이라고 함 - 이 손실은, 교류 권선 내에 넣은 철심이 가열되는 원인이 됨

자성의 특성량
1. 자계   2. 자속   3. 자속 밀도   4. 투자율, 자화율   5. 자화   6. 자기 쌍극자  
자기장 효과
1. 외부 자기장 효과   2. 자화   3. 유도 기전력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