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색, 색채 이란?
ㅇ 색 (color, 色)
- 빛과 연관된 물질적인 특성이라기 보다는,
- 인간의 시각적 감각 반응과 지각적 인식 과정(또는,학습의 결과)을 포함하는 복합적 현상
. 사람의 눈을 통해 들어온 `가시광선`이 대뇌에 일으키는 일종의 자극에 대한 감각
ㅇ 색채 (perceived color, 色彩)
- 색에 대해 인간의 감성적인 느낌을 서술할 때 주로 사용되는 용어 ☞ 색채 심리 참조
※ 한편, 색깔들을 범주화하여 명칭을 주는 방식도,
- 인간이 색을 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침
. 例) 몇몇 문화권에서 이름 없는 색깔에 대해 구분을 잘 못하는 등
2. 색의 경험/인식 : 색 지각
ㅇ 색 지각 3 요소
- 색을 결정하게하는 3요소 : 광원(조명), 물체, 관찰자
ㅇ 물체와 색 지각 간의 관계
- 물체에 색이 있는 것이 아니라, 빛과 물체등이 상호작용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
. 조명 변화(종류,세기)에 따라 관찰자가 느끼는 색도 다양하게 변화되는 등
- 구분
. 광원 색 :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을 인간의 눈으로 그대로 인식할 때
. 물체 색 :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물체 표면 반사에 의한 빛을 눈이 받아들여 인식될 때
. 구조 색 : 물체 표면 반사가 아닌, 표면의 미세한 구조적 보강간섭에 의해 인식될 때
3. 색의 특징/특성
ㅇ 색의 특성
- 물리적인 성질 : 광원의 분광 특성, 색료의 농도 등
- 생리적인 성질 : 광 수용기의 반응, 보색 등
ㅇ 색의 구별 속성
- 색상, 채도, 명도, 채도, 광량 등
ㅇ 색의 3 속성
- 색 종류 : Hue (색상)
- 색 진하기 : Chroma level (채도)
- 색 밝기 : Luminance level (명도)
* 색상(Hue) 및 채도(Chroma), 이 둘을 합하여 색도(Chromaticity) 라고 함
* 채도(Chroma) 및 명도(Luminance), 이 둘을 합하여 색조(Tonality) 라고 함
ㅇ 기본이 되는 색
- 원색(Primary Color) / 삼원색(Three Primary Color)
. 색채의 3원색 : 빨강, 노랑, 파랑
. 색광의 3원색 : 빨강(파장:700.0 nm), 초록(파장:546.1 nm), 파랑(파장:435.8 nm)
. 색료의 3원색 : Cyon, Magenta, Yellow
4. 색의 체계/모델/재현/측정 등
ㅇ 색의 표준 체계
- 주관적으로, 인식,표현되는 색채를,
- 정량적으로, 측정,전달,보관,관리,표현하기 위한 체계
. 색 체계/표색계 : 색의 표시,명명,전달,측색 등을 위한 구체적,정량적인 색 표시 체계
. 색상 모델 : 공간적인 위치(색좌표계)로써 색상(컬러)를 표현하는 방식
ㅇ 색의 구현 방법
- 3원색 혼합 비율을 변화시키면 다른 색 구현이 가능
. 가법혼색(가색혼합)
. 감법혼색(감색혼합)
ㅇ 색의 표시 방법 종류
- 3차원 3자극치(X,Y,Z)로 표시하는 방법
- 2차원 색도좌표(x,y)로 표시하는 방법
- 색도좌표로부터 유도된 주파장(λd) 및 자극순도(Pe)에 의해 표시하는 방법
. 백색 색도점으로부터의 거리 및 방향에 의한 표시
. 색 자극을 직관적으로 표악하기 용이한 표시방법
- 색 온도에 의해 표시하는 방법
ㅇ 색의 측정 ☞ 측색학
- 색도계, 분광광도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