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ython 함수
ㅇ 내장 함수 (Built-in Function)
* (모듈이나 패키지를 가져오지 않고도 즉시 사용 가능한 함수)
- 산술
. abs(), sum()
.. 例) sum({1,2}) => 3, sum({0:1,1:3}) => 4, sum([1,2,3]) => 6, sum([1,2,3],10) => 16
. int() : 정수형으로 변환 (소수 이하 반올림 올림이 아니고 내림 임)
. float() : 실수형으로 변환
. divmod(,) : 몫과 나머지 함께 구하기 (결과를 튜플로 반환)
.. 例) quotient, remainder = divmod(7, 2) => quotient = 3, remainder = 1
. round() : 반올림
- 논리
. bool() : 논리형으로 변환
- 파일시스템 취급
. 파일 열기 : open()
.. 형식 : fileobj = open( filename, mode )
.. mode : 첫자 (동작:r,w,x,a), 둘째자 (타입:t,b)
. 파일 닫기 : fileobj.close()
- 입력
. input()
- 출력 : 화면에 표시
. format()
. globals()
. print()
- 문자열
. str() : 수치를 문자열로 변환
. len() : 문자열 길이
- 리스트 생성
. range([strat,] stop [,step]) : 특정 범위 내 차례대로 증가하는 숫자 리스트를 생성 반환
.. 형식 : range(시작,끝,증가값), range(시작,끝), range(끝)
.. 例) list(range(3,7)) => [3,4,5,6]
- 길이(크기) 알아보기 : len()
- 자료형 알아보기 : type()
- 메모리 위치 확인 : id()
. 메모리 상에 위치한 객체의 주소를 가져와 출력
- 정렬
. sorted() : 순서대로 정렬
.. sorted(data), sorted(data, reverse-parameter), sorted(data, key-parameter),
sorted(data, key-parameter, reverse-parameter)
. reversed() : 거꾸로 뒤집기
- 반복
. iter() : Iterator 객체를 생성하여 이를 반환
. enumerate(Iterable 객체 [,시작번호])
.. 리스트 등 Iterable 객체를 인수로 받아, Iterator 객체를 생성 반환
. map(콜백함수, Iterable 객체)
.. 리스트 등 Iterable 객체를 인수로 받아,
.. 각 원소들을 콜백함수로 처리하고,
.. 그 결과로써, Iterator 객체를 생성 반환
- (내장 함수 목록)
. abs(), all(), any(), ascii()
. bin(), bool(), breakpoint(), bytearray(), bytes(),
. callable(), chr(), classmethod(), compile(), complex()
. delattr(), dict(), dir(), divmod()
. enumerate(), eval(), exec(), filter(), float(), format(), frozenset()
. getattr(), globals(), hasattr(), hash(), help(), hex()
. id(), input(), int(), isinstance(), issubclass(), iter()
. len(), list(), locals()
. memoryview(), min(), map(), max(), next()
. object(), oct(), open(), ord()
. pow(), print(), property()
. range(), repr(), reversed(), round()
. set(), setattr(), slice(), sorted(), staticmethod(), str(), sum(), super()
. tuple(), type(), vars(), zip(), __import__()
ㅇ 사용자 정의 함수 (User-defined Function)
- def문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는 함수
. 例) def my_function(x,y) :
2. 익명 함수 (Anonymous Function) 또는 람다 표현식 (Lambda Expression)
ㅇ (형식) lambda 인수: 표현식
- 람다 표현식의 변수 할당 : 변수 = lamda 인수: 표현식
- 람다 표현식의 호출 : (lamda 인수: 표현식)(인수값)
ㅇ 例) var = lambda n1, n2 : n1 + n2
- var : 생성된 익명 함수의 참조를 저장하는 변수
- lambda : 람다 표현식의 키워드
- n1, n2 : 매개변수
. n1 + n2 : 실행될 함수 본체
. 익명 함수의 호출 : var(2,3)
3. Function Annotation (함수 주석), Type Hint (타입 힌트), Type Annotation (타입 주석)
ㅇ 함수의 매개변수 및 리턴값의 자료형을 명시적으로 지정(주석)하기 위함으로, 강제성은 없음
def 함수명(매개변수1 : 매개변수1_주석, 매개변수2 : 매개변수2_주석) -> 리턴값_주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