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능 단백질 (functional protein)
ㅇ 생리 기능의 발현, 조절에 특히 효과적으로 작용을 갖는 단백질들
ㅇ 기능을 갖는 단백질은,
- 단지 하나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아니라,
- 1 이상의 폴리펩타이드가 정교하게 꼬이고 접히고 감겨서 만들어진,
- 독특한 형태의 분자임
2. 기능 단백질의 구분
ㅇ (작용상의 분류 방식)
- 결합 단백질 : 특정 분자나 구조와 결합하여 안정화, 신호 전달, 구조 유지 등을 보조함
- 효소 : 생화학 반응의 촉매 역할 수행
- 막 수송체 :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조절
- 신호 전달 분자 :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등으로 세포 간 신호 전달
- 면역 글로블린 : 항원 인식 및 면역 반응 유도
- 수용체 : 특정 신호 분자를 인식,결합해 세포 반응 유도
- 조절 단백질 : 유전자 발현, 세포 활동, 효소 작용 등을 조절
ㅇ (기능상의 분류 방식)
- 구조 단백질 : 세포나 조직의 구조를 지원하고 형태를 유지
. 세포외기질이나 세포골격 등 세포나 조직의 형태를 지탱함
. 例) 케라틴, 콜라겐, 엘라스틴, 피브로넥틴, 튜불린 등
- 효소 단백질 : 생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역할
- 수송 단백질 : 분자나 이온을 체내에서 운반하는 역할
- 신호 단백질 : 세포 간의 신호 전달을 담당
. 수용체 단백질 (receptor protein) : 세포 표면에 위치하여,
.. 신호 전달 물질을 인식하고 결합하여 세포 간 신호 전달을 매개
- 방어 단백질 : 병원체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 (면역)
- 수축 단백질 : 세포 운동 및 근육의 운동을 도움
. 例) 액틴, 마이오신 등
- 저장 단백질 : 아미노산을 저장하고 필요 시 방출하는 역할
3. [참고사항] 섬유상 단백질 (fibrous protein) : (구조 단백질)
ㅇ 케라틴 (keratin)
- 존재 부위 : 머리카락, 손톱, 발톱, 피부의 바깥층
- 구조 : α-나선(helix) 구조가 여러 가닥 꼬여 형성
- 특징 : 불용성, 매우 단단하며 외부 자극에 대한 방어 기능
- 기능 : 상피 조직의 기본을 이루는 보호성 구조 단백질
ㅇ 콜라겐 (collagen, 아교질)
- 존재 부위 : 피부, 혈관, 뼈, 치아, 근육, 연골, 힘줄 등 결합조직
- 구조 : 3가닥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꼬여 이루는 삼중 나선 (triple helix)
. 각 가닥은 1천개 이상의 아미노산들이 이어진 것
- 특징 : 인체 단백질 중 약 1/3을 차지, 매우 강하고 인장력 높음
- 기능 : 결합조직을 연결,지지하며, 조직의 강도와 탄력 유지 (세포외기질)
ㅇ 엘라스틴 (elastin)
- 존재 부위 : 혈관 벽, 폐, 피부, 인대 등 신축성 있는 조직
- 구조 : 불규칙한 코일(coil) 구조로, 신축성과 복원력 높음
- 특징 : 늘어났다 돌아오는 탄성 고무줄 같은 성질
- 기능 : 조직의 탄성 부여, 신체 움직임 시 형태 복원에 기여
ㅇ 피브로인 (fibroin)
- 존재 부위 : 누에고치의 실, 거미줄
- 구조 : β-병풍 시트(β-pleated sheet) 구조가 규칙적으로 배열
- 특징 : 매끄럽고 단단하며, 높은 인장 강도
- 기능 : 실크의 주성분으로, 견고한 섬유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