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체 정역학 (Fluid Statics)
ㅇ 정지해 있는 유체에 관련된 역학 (부력 등)
- 주로, 압력과 힘의 분포를 다루며, 유체가 정지 또는 매우 느릴 때의 특성을 분석
2. 유체 정역학의 구분
ㅇ 수력학 (Hydraulics) : 유체가 액체일 때
- 정지 또는 흐르는 물을 중심으로 한 유체의 여러 현상을 역학에 기초하여 규명하는 학문
. 주로, 완전히 실험에 만 의존하는 학문
- 수 정역학, 정 수 역학 (Hydrostatics)
. 특히, 액체(물)를 중심으로 유체 정역학을 다룰
- 수 동역학 (Hydrodynamics)
. 비 압축성으로 근사되는 저속의 액체 또는 기체의 유동을 다룸
ㅇ 기체 정역학, 공기 정역학 (Aerostatics) : 유체가 기체일 때
- 정지해 있는 공기(기체) 내 부력과 압력의 작용을 연구
. 공기 중 떠 있는 열기구,기구(balloon),비행선 등 정적 상태의 공기역학적 원리를 다룸
3. 유체 정역학의 기본 원리들
ㅇ 유체 내 압력의 균일성
- 정지 유체 내 압력은, 각 지점에서 모든 방향으로 동일
ㅇ 파스칼의 원리
- 밀폐된 유체에 가해진 압력은, 유체 전체에 동일하게 전달됨
. 액체 압력을 높여, 작은 힘을 증폭시켜, 큰 힘을 만들어내는 등에 응용
ㅇ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 물체가 받는 부력을 정량적으로 표현
[# F_B = γV = ρg V #]
ㅇ 정 수압 공식
- 유체의 압력은, 깊이에 따라 증가
[# p = p_0 + ρg h #]
ㅇ 연속성 방정식
- 비 압축성 유체에서는, 단면적과 속도의 곱(유량)이 일정
[# A_1v_1 = A_2v_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