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PS 용어
ㅇ GPS 위성
- 24개 이상의 인공위성들로 구성됨 : (원형 중궤도(MEO) 위성군)
. 지구상 어디에서나 최소 6기에서 10기의 위성들을 볼 수 있음
ㅇ GPS 신호
- 반송파 : GPS용 코드 정보가 실린(변조된) 높은 주파수의 파형을 말함 (L1, L2, L5)
- 코드 : 거리 측정용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의사랜덤 코드 (C/A 코드, P 코드 등)
- 항법메세지 : 생성된 C/A 및 P 등의 코드에 합쳐짐
ㅇ 의사 거리 (Pseudorange, Pseudo Ranging)
- GPS 위성에서 GPS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구할 때,
- 오차(전파 지연,동기 오차 등)를 포함한 추정 거리 량
ㅇ 모호 정수 (Integer Ambiguity)
- 위성 신호의 수신 시작 시점에 측정되는 상수
. GPS 위성과 GPS 수신기 사이에 세게되는 반송파 파장의 개수 임
. 이는, 정수 개수이며,
. 특히, 정수로 표현 못한 나머지는, 위상 차이라고 하여, GPS 측위에서 중요 측정량 임
- (표현식) 측정 거리 = N λ + Φ
. N : 모호 정수, λ : 파장, Φ : 측정된 위상
. 여기서, Φ는, 정수로 표현 못하는 나머지로써, 측정은 가능한 반송파의 위상 차이값
- 이후, 모호 정수는 위성 추적 동안 상수로 남아있게 됨
- 모호 정수를 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例)
. 실시간 이동 측위(RTK) : 기준국에서 보정 정보를 받아 모호 정수를 실시간으로 결정
. 이중 차분 : 2 이상의 수신기와 2 이상의 위성 신호를 조합하여 모호 정수를 결정
. 반송파 평활화 : 코드 기반 거리 측정값을 이용, 반송파 위상 측정값의 모호성을 줄이는 방법
ㅇ RINEX 파일 (Receiver INdepedent EXchange format)
- GPS 수신기 기종에 따라, 기록 방식이 달라, 이를 통일하기 위한 표준 파일 형식
- 문자 엔코딩 형식 : ASCII
- 파일 확장자
. "*.n" (navigation) : 위성 궤도 정보
. "*.o" (observation) : 수신기에서 관측한 관측값 정보
- 헤더 부분 : 관측점명, 안테나 높이, 관측 시간, 관측 횟수, 수신기 정보, 개략 XYZ 위치 등
- 바디 부분 : 실제 관측된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