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지 (認知, Cognition)
ㅇ 사물을 보거나, 소리를 듣는 등으로부터, 쌓은 경험 지식을 바탕으로, 무엇인가를 알게되는 것
- 지각(Perceiving),착상(Conceiving),판단(Judging),감지(Sensing),추리(Reasoning) 등을
포괄하는 모든 처리 과정이 관여됨
- 例)
. 모양과 숫자를 추상적으로 파악하는 인지 능력 : 기하학, 정수론
. 주변 무선 환경 변화를 인지하며 적응적으로 통신 : 인지 무선통신
ㅇ 즉, `앎`과 관여하는 정신 활동
- 인지 기능에 의존하는 주요 활동들
. 언어 소통, 주의집중, 기억, 의사결정, 문제 해결 등
- 특히, 주의집중,기억과 같은 인지기능은 정서와도 상호작용을 함
. 例) 정서적 경험과 관련된 사건을 더 잘 기억하는 등
2. [참고사항]
ㅇ 인지 부조화 (Cognitive Dissonance)
- 신념(믿는것),현실 간의 불일치,비일관성에 대한 불편감
- 인지 부조화 이론 : 이를 해소하기 위한, 태도,행동을 설명하는 이론
ㅇ 인지 편향 (Cognitive Bias)
-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 중에 내재한 결함으로,
- 신념에 부합되는 정보나 근거 만을 찾으려 하는 경향
- 원래, 뇌는, 지름길(과거 경험)을 통해, 세상을 빨리 이해하고 빠른 판단을 하려고 함
ㅇ 체화된 인지 (Embodied Cognition)
- 인지 과정이 외부세계와의 신체적 상호작용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다는 이론
- 이에따라, 오직 뇌 뿐만이 아니라 온 몸이 사용되어,
. 몸을 통해 느끼고 경험한 감각이, 인지의 일부분이 되는 것을 말함
- 이는 전통적인 인지 기능이, 주로 뇌 중심으로 만 이루어진다는 관점에 도전하는 개념임
ㅇ 인지 검사 (Cognitive Assessment)
- 기억력, 주의력,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 등 다양한 인지 능력을 측정
. 개인의 인지 기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됨
- 활용 분야
. 신경심리학 : 치매, 뇌손상 등 진단
. 교육학 : 학습 능력 평가
. 인공지능/UX 연구 : 인간 인지 특성을 이해하여 시스템 설계에 반영
ㅇ 멘탈 모델 (Mental Model)
- 물체 등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내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
. 즉, 실제 세계의 구조나 과정을 단순화하여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인지적 틀
- 例)
. 스마트폰 앱 사용시, "아이콘을 누르면 어떤 기능이 실행된다"고 기대함
.. UI/UX 설계는, 이러한 멘탈 모델에 맞추면서 이루어짐
.. 다른 예들로는, 휴지통 아이콘, 폴더 개념, 스와이프(Swipe) 제스처 등
. 통상, 문 손잡이를 보면 "당기면 열릴 것이다"라는 멘탈 모델을 형성
.. 때론, "미는 방식"일 수도 있음
. 조직/경영에서, 리더와 팀원 간에 멘탈 모델을 공유하면, 협업 효율이 상승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