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usion Coefficient, Diffusivity   확산 계수

(2024-11-03)

확산 상수, 확산율


1. 확산 계수 (Diffusivity, Diffusion Coefficient)  :  [㎠/s]입자 농도 기울기에 따른 이동 용이성 (비례 상수)

  ㅇ 확산 계수가 클수록, 확산이 빠르게 진행됨


2. 확산 계수의 표현식입자유량 밀도(유속) 및 농도 기울기(농도 변화량) 간의 관계식인 픽 법칙(Fick Law)으로부터,
      
[# F = - D \; \nabla n = - D \frac{dn}{dx} \quad \text{(1 dimension)} #]
- F : 입자의 순 유량 밀도(Net Flow Density) [1/(㎠·s)] . 유량 밀도 = 농도[개/㎥] x 이동속도[m/s] (입자수 관점) = ρv [g/㎠·s] (질량 관점) - (-) : 농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작은쪽으로) 확산 이동함을 의미 - D : 확산 계수 (비례 상수) [㎠/s] . 이동 용이성을 나타내는 계수 - n : 입자 농도 [개/㎤] - dn/dx : 농도 기울기(Concentration Gradient) [(개/㎤)·(1/㎝)] . 물질 조성(성분)의 거리에 따른 농도 변화율 3. 확산 계수의 영향 요소 ㅇ 확산 계수 D 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는, - 격자구조(물질종류),온도,불순물 등에 의존함 - 의존성 : 지수 비례적, D ∝ exp(−Ea/kT) . (D : 확산율, Ea : 활성화 에너지, k : 볼츠만상수, T : 절대온도) 4. [참고사항] ※ ☞ 확산 방정식, 반도체확산 전류 참조 - 확산 방정식 : 농도 기울기에 따른 입자의 이동(확산)을 설명하는 방정식 - 반도체확산 전류 : 전하 운반자농도 차이에 의해 이동하면서 생성되는 전류

반도체 전하 이동
1. 전하 이동   2. 표동 (Drift)   3. 확산 (Diffusion)   4. 확산 계수   5. 연속방정식, 확산방정식   6. 확산 전류   7. 과잉 반송자   8. 쌍극 이동 방정식   9.
생성, 재결합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반도체 전하 이동]1. 전하 이동   2. 표동 (Drift)   3. 확산 (Diffusion)   4. 확산 계수   5. 연속방정식, 확산방정식   6. 확산 전류   7. 과잉 반송자   8. 쌍극 이동 방정식   9. [생성, 재결합]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