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압 조정기 (Voltage Regulator), 정 전압 회로 (DC Regulated Circuit)
※ 레귤레이터(Regulator) : (전압) 안정화기, (전압) 조정기 등으로 번역
ㅇ `입력 전압, 출력 부하, 온도` 등의 변동에도, 일정한 `출력 직류 전압`을 유지하는 회로 장치
- 맥동성 있는 직류 입력 전압을, 안정된 직류 출력 전압으로, 안정적 가변 공급
. 안정된 직류 출력 공급을 하는 `DC-DC 전력 컨버터`를 일컬음
ㅇ 보통,
-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의 일부분으로 쓰이며,
- 주로, IC(집적회로) 형태로 만들어져 공급됨
2. 전압 조정기의 특징
ㅇ 조절되지 않은, 맥동을 갖는 dc 입력을, 입력,부하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dc 출력 제공
ㅇ 부궤환 사용 (Closed Negative Feedback Loop)
ㅇ DC-DC 전력변환기의 일종 (DC Converter)
ㅇ 통상, 열적 과부하를 예방하기 위해, 방열판을 붙이는 것이 요구됨 (Heat Sink, Cooling Fan)
※ 전압조정기의 성능 특성 ☞ 전압변동률 참조
3. 전압 조정기의 기본 구성
ㅇ 기준 전압원
- 항상 일정 기준 전압 제공 소자 (例: 밴드갭 기준 전압 회로)
. 출력 전압의 안정성은, 이 기준 전압의 정확도와 안정도에 좌우됨
ㅇ 비교 증폭기 (오차 검출기)
- 실제 출력 전압(샘플링된 값)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증폭
. 이 오차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달하여, 출력 전압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
ㅇ 제어 장치 (샘플링 요소 및 제어)
- 출력 전압 일부를 피드백 받아 제어 소자를 조절하는 부분
. 선형 전압조정기 : 제어 요소(트랜지스터)가 선형 동작
. 스위칭 전압조정기 : 제어 요소(트랜지스터)가 스위치 동작
ㅇ 과 부하 방지 장치 (보호 회로) 등
- 통상, 전류 제한 회로, 온도 보호 회로, 단락 보호 회로 등이 포함됨
※ 3 단자 구성 : 입력 단자, 출력 단자, 접지 또는 조정 단자
4. 전압 조정기의 구분
ㅇ 선형 레귤레이터 (Linear Regulator) : 선형 제어 방식
- 직렬형 (series regulator) : 부하와 직렬로 연결된 트랜지스터 구조
- 병렬형 (shunt regulator) : 부하와 병렬로 연결된 트랜지스터 구조
* (직렬,병렬 조정기에 쓰이는 트랜지스터가, 선형 영역에서 동작함)
* IC 시리즈
. 78xx : (양 전원 고정형, xx는 정(+) 출력 전압값, 例: +5V, +6V, +8V, +9V, +10V 등)
. 79xx : (음 전원 고정형, xx는 정(+) 출력 전압값, 例: –5V, –12V, –15V, –18V, –24 V 등)
. LM317 : (양 전원용 가변형, +1.25 ~ +37 V)
. LM337 : (음 전원용 가변형, +1.25 ~ +37 V)
* 장점
. 출력 리플이 매우 작고, 이론적으로 노이즈가 없으며, 유지 시간이 길고(1~2ms),
응답 속도가 빠름
* 단점
. 매우 낮은 변환 효율 (발열이 크고, 큰 방열판 필요),
. 전기적 절연이 60 Hz AC 측에서만 가능, 부피와 무게가 크며,
. 통상 단일 출력만 가능
ㅇ 스위칭 레귤레이터 (Switching Regulator) : 스위칭 모드 제어 방식
- 승압형 (Boost, Step-Up) : 입력 전압 보다 높은 출력 전압 생성
- 강압형 (Buck, Step-Down) : 입력 전압 보다 낮은 출력 전압 생성
- 반전형 (Inverting) : 입력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켜 음전압 출력 생성
* (이 외에도 Buck-Boost, Flyback, Forward 등 다양한 토폴로지 존재)
* (트랜지스터가, 차단 및 포화 영역 사이를 스위칭 동작함)
* IC 시리즈
. 78S40 : 범용 스위칭 레귤레이터 IC (Step-Up, Step-Down, Inverting 모두 가능)
* 장점
. 높은 변환 효율 (보통 80~95%), 작은 크기, 경량
. 다양한 출력 전압 생성 가능 (고 전압, 저 전압, 음 전압, 다중 출력)
. 입력 전압 범위가 넓고, 배터리 구동 회로에 유리
* 단점
. 스위칭 동작으로 인한 리플·노이즈 발생 (EMI 대책 필요)
. 회로가 다소 복잡, 설계가 까다로움
. 응답 속도가 선형 레귤레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