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VRP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2021-08-05)

1. 거리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ㅇ 전체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해서는 알려고 하지 않고,
     - 단지 이웃 라우터가 주는 주기적인 갱신 정보에 만 의존하여,
     - 이로부터 원격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 경로결정을 하게되는 프로토콜 

  ※ 비유적으로, 전체 숲의 구조는 관심 없고, 
     - 인접 나무 및 주변 소문 만을 들으며 경로 결정을 함


2. 거리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주요 특징라우팅 결정을 위해 Bellman-Ford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

  ㅇ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전체 또는 일부를 이웃 라우터에게 주기적으로 전달
     - 주기적으로 라우팅 갱신 정보이웃 라우터에게 브로드캐스팅
     - 갱신 주기 : 10~90 초 정도  (RIP : 30초, IGRP : 90초)
        . 만일, 이웃 라우터가 아무런 갱신 정보를 주지 않으면 이 라우터는 이용가능하지
                않음으로 판정

  ㅇ 갱신 정보 (라우팅 업데이트 데이터)
     -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전체 경로에 대한 정보를 갖지 않음
     - 대신에 아래 두가지 만 유의함 
        . 패킷 포워딩을 위한 방향(다음 홉 또는 출구 인터페이스) : direction(방향)
        . 목적지 네트워크까지의 거리                            : distance(거리)

  ㅇ 이웃 라우터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배움(학습,learn)
     - 이를두고 일명, Routing by rumor(소문에 의한 라우팅)이라고 부름
     -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토폴로지를 모름
        . 이웃 라우터에서 보내준 경로 예측 값들과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경로 예측 값을
          비교하여 적은 값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

  ㅇ 비교적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 적용, 수렴성 늦음 등
     - 이 알고리즘은 전체 라우터가 모두 동일한 정보수렴하기 까지 많은 시간이 걸
       리는 단점이 있음

  ㅇ 주요 규칙 둘
     - 스플릿 호라이즌(Split Horizon)
     - 자동 축약(Auto Summary)


3. 거리벡터 라우팅 프로토콜들의 例

  ㅇ Intradomain Protocol 例 (도메인 내) 
     - RIP (IP, IPX), DECnet phase 3 ans 4,  RTMP (AppleTalk), IGRP (Cisco사)

  ㅇ Interdomain Protocol 例 (도메인 상호 간)
     - BGP (보다 진보된 경우로 `경로 벡터 라우팅`라고도 함) 등

라우팅 프로토콜 (개요,개념)
1. 거리 벡터(DV)   2. 링크 상태(LS)   3. DV 라우팅 프로토콜   4. LS 라우팅 프로토콜   5. IGP   6. EGP   7. 라우팅프로토콜 라우티드프로토콜 비교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