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State Routing Protocol 링크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 (2016-06-18) |
1. 링크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ㅇ 각 라우터는 Hello 패킷을 사용, 이웃라우터들과 인접관계를 형성
ㅇ 이웃라우터를 찾아내서, 이웃라우터까지의 각각의 지연 또는 비용을 평가하고,
- 알아낸 결과를 다른 모든 라우터에게 LSA 패킷화하여 전송
ㅇ LSA 패킷(라우팅 정보)을 받은 라우터는,
- 또다시 이웃한 라우터에게 이를 전달(플러딩) 함
ㅇ 각 라우터는 LSA 사본을 저장하고,
- 이를통해 LSDB(Link State Database)를 구축하여,
- 전체 네트워크의 지도(Map)를 그리게 됨
ㅇ 전체 라우터는 점차적으로 동일한 LSDB를 가지게 됨 (빠른 수렴성)
- 실제로는, 효율성을 위해 전체 네트워크가 영역별로 나뉘어지고,
그 영역별로 LSDB를 구축함
ㅇ LSDB를 통한 최단 경로의 계산은 E.W. Dijkstra 의 SPF 알고리즘을 이용
ㅇ SPF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된 최단 경로로부터 라우팅 테이블을 구축함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