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복조 및 복호 관점에서 판정(Decision) 이란?
ㅇ 복호기 직전에 있는 복조기에서의 양자화에 따른 임계 판정(threshold decision)을 말함
- 경 판정 : 2 레벨 양자화 결과를 사용
. 단 하나의 비트가 부호 심볼을 나타냄
- 연 판정 : 2 이상의 레벨을 갖는 양자화 결과를 사용
. 수개의 비트가 그룹화되어 부호 심볼을 나타냄
2. 경판정 (Hard Decision)
ㅇ 주로, 모호하지 않는 확고한 판정을 한다는 의미임
- 예를들면, {0,1,잘모르겠다}라고 수신되어지는 부호에서,
. 잘 모를때에도, 반드시 0 또는 1로 만 판정하게됨
ㅇ 경판정 복호 (Hard Decision Decoding)
- 디지털 통신 복조기에 의한 파형 출력이 단지 2진 {0 또는 1}으로 만 복조되고,
또한 이를 토대로 복호하는 것
. 수신기에서 돌이킬 수 없는 정보 손실을 유발할 수 있음
- 사용 例) 주로, 블록부호 복호화에서 사용
3. 연판정 (Soft Decision)
ㅇ 확고한 정수 같은 판정 대신,
- 실수 (0.2,0.3 등) 또는 기타 정보를 포함시켜 판정하는 것
ㅇ 연판정 복호 (Soft Decison Decoding)
- 디지털 통신 복조기 출력이 2 이상의 양자화된 값에 근거하여 복호하는 것
. 복조기 출력이 2 이상의 알파벳 또는 양자화된 근사값으로 구성되고,
. 이들이 조건확률 또는 우도 등 정보의 조합으로 특징짓게되고,
. 이러한 다양한 정보들을 토대로 복호를 수행하게 됨
. 例) 채널 측정 정보를 포함시킨 연판정 값을 이용하여 복호하는 것
.. 즉, 추정된 경판정의 정확성에 대한 정보도 복호 과정에 이용하는 등
. 例) 극단적으로, 연판정은, 전혀 양자화를 기반으로 하지 않을 수도 있음
- 사용 例) 블록부호 복호화에서도 사용 가능하나,
주로, 길쌈부호 복호화에서 많이 사용
※ 일반적으로,
- 연판정 복호기는 더많은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고 구현이 복잡하나,
- 연판정 복호는 경판정 복호 보다 우수한 복호 성능을 갖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