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 Amp   Operational Amplifier   연산 증폭기

(2024-12-10)

OP 앰프


1. 연산 증폭기 (Operational Amplifier)

  ㅇ 다목적용으로 사용되는 매우 값싼 반도체 아날로그 능동소자
     - 패키징화 : 표준 패키지(IC화)로 판매되고 있는 아날로그 집적회로/다단자장치/회로빌딩블록
     - 회로특성 : 매우 큰 입력 임피던스, 작은 출력 임피던스, 매우 큰 전압 이득
     - 동작특성 : 넓은 대역폭에 걸쳐 일정한 높은 이득을 갖음


2. 연산 증폭기의 역사연산이라는 명칭 사용 (1947, John R. Ragazzini)
     - 초기 아날로그 컴퓨터에서, 
     - 부귀환 구조에 적당한 외부 소자의 선택 만으로,
     - 증폭,덧셈,뺄셈,미분,적분연산이 가능하도록,
     - 특수한 고 이득 증폭기를 구현함으로써, 이 같은 명칭이 부여됨
  ㅇ 1960년대초, Robert J. Widlar 개발
  ㅇ 최초의 IC화된 Op Amp 출현, 1968년 Fairchild社, μA741


3. 연산 증폭기의 주요 특징

  ㅇ 표준 패키지(IC)화 되어있음 
     - 신뢰성 좋음, 저 가격, 소형화, 저 전력 소모 등

  ㅇ OP Amp의 종류로는 수천개가 넘으며, 
     - 그 속에는 수십개의 내부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 잘 정의된 외부 단자 특성을 갖음

  ㅇ 단독으로 사용 않음
     - 통상, 귀환 회로 구성을 하며, 이곳에 수동 소자들과 함께 사용됨
     - 이때, 폐쇄루프이득 등이 전적으로 수동 소자에 만 의존하게 되어, 정밀 조정이 가능하게 됨
        . 일반 증폭기는, 그 특성이 내부 설계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에, 
        . 연산 증폭기는, 거의 전적으로 외부 피드백 회로에 의해 동작 모드가 결정됨

  ㅇ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유
     - 저주파 영역에서 거의 이상적으로 선형적인 동작 특성을 보임
     - 작고 저렴하며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임
     - 사실상, 대부분의 아날로그 회로 설계의 출발점이 됨

  ㅇ 회로 기호
        
    

4. 연산 증폭기의 내부 구성차동증폭기 (두 입력 입력단 : 고 임피던스 제공)
  ㅇ 전압증폭기 또는 레벨 시프터 (증폭단 : 고 이득 제공)
  ㅇ 푸시-풀 증폭기 (단일 출력단 : 저 임피던스 제공, 파형 왜곡 작음)
       


5. 연산 증폭기의 외부 단자

  ㅇ 필수 단자
      
     - 3개의 신호 단자(2개 입력, 1개 출력)
        . v : 반전 입력 단자(inverting input terminal)
        . v : 비반전 입력 단자(noninverting input terminal)
           .. v = v - v : 차동 신호 (differential signal)
        . v : 출력 단자
     - 2개의 직류 전원 공급 단자를 갖음
        . 공급 전압 (Bipolar 2극, +V,-V) : ±15 V, ±1.25 V, +1.24 ~ 0 V 등 
           .. (BJT : +V ~ -V, CMOS : +V ~ -V)
     - 한편, 접지 단자가 없음
        . 외부 공급 전원 측에서 접지 해결

  ㅇ 기타 단자
     - 특수 목적에 따라, 주파수 보상용, 오프셋 널링(offset nulling) 등의 단자가 있음

  ㅇ 초기, 741 IC  단자구성 例)
      
     - 1번 핀 옆에, 점(dot)이나 홈(notch)으로 표시됨 
     - 8번 핀은, NC(Not Connected)


6. 연산 증폭기회로 파라미터

  ㅇ 주요 파라미터 : (이상적인 경우)
     - 입력 저항 R (임피던스 Z) : 무한대 (∞)
     - 출력 저항 R (임피던스 Z) : 영 (0)
     - 개방루프 전압이득 A : 무한대 (∞)
        . 대략 십만 ~ 백만 배 정도
     - 주파수 대역폭 BW : 무한대 (∞)
     - 오프셋 전압 : 입력이 없으면 출력도 없음 
        . 차동 입력 전압이 영(v = v - v = 0)일 때, 
        . 출력 전압 v도 영(0) 
     - 공통모드제거비 (CMRR) : 무한대 (∞)
        . 차동 모드 신호 : 높은 이득 제공
        . 공통 모드 신호 : 매우 작음 (거의 0)

  ㅇ 기타 파라미터
     - 슬루율
     - 주파수응답 (GBP) 등

  ※ ☞ 연산증폭기 회로 해석 참조
     - 높은 입력 임피던스, 낮은 출력 임피던스, 이상적인 전압증폭기로써 모델화, 무한대 대역폭,
       오프셋 전압,전류가 0, 단지 차동 신호에 만 응답, 두 입력 단자 간에 가상 단락 등

  ㅇ 범용 연산 증폭기에 필요한 추가적인 중요 기능
     - 단락회로 보호 기능 : 출력 단락시의 충격으로부터의 보호
     - 래치업 방지        : 임의 입력 조건 하에 출력이 특정 상태(High,Low)에 머무는 것을 방지
     - 입력 오프셋 영점 조정 : 0 입력인 경우, 외부 전위차계에 의해, 출력 전압을 0으로 조정


7. 연산 증폭기의 응용 및 구분

  ㅇ 아날로그 회로 구성에서 가장 기본적인 능동소자 중의 하나로 활용됨
 
  ㅇ 응용 상의 잇점
     - 넓은 대역폭, 낮은 입력 오프셋, 낮은 잡음 특성 등

  ㅇ 응용 상의 특징
     - 통상, 연산증폭기는 개방루프 단독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사용 않고,
     - 귀환(주로,부귀환)을 갖는 회로 구성 하의 회로 소자로써 많이 응용됨
        . 출력 단자로부터 입력 단자에 귀환 저항을 거는 형태로 연결됨

  ㅇ 응용 例) 
     - 선형적 : 버퍼, 반전증폭기,비반전증폭기, 가산증폭기,차분증폭기, 적분기,미분기 등
     - 비선형적 : 비교기, 슈미트 트리거, 정류기, 피크 검출기, 샘플 홀드 회로, 아날로그 곱셈기 등

  ㅇ 전원 공급 형태에 따른 연산증폭기의 구분
     - 단일 공급 전원 방식, 2중 평형 전원 방식, 2중 불평형 전원 방식

연산증폭기
1. 연산증폭기 (Op Amp)   2. 연산증폭기 특징 해석   3. 슬루율   4. 연산 증폭기 파라미터   5.
차동 증폭기
  6.
연산증폭기 기초응용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