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기 (Vapor, 蒸氣)
ㅇ 통상, 상온에서 액체,고체인 물질이,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
- 일정 압력에서 온도를 낮추거나 (냉각),
- 일정 온도에서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압축),
- 쉽게 응축(고체,액체)될 수 있는 기체 상태
ㅇ 즉,
- 포화 영역에 가까워서, 응축할 가능성이 높은 기체의 상태
- 임계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 있는 기체 상(相)
. (임계 온도 : 이 온도 이상에서는 기체가 액체로 될 수 없음)
ㅇ 例) 수증기, 내연기관 내 휘발유 증기 등
- 수증기 (Water Vapor) : 기체 상태의 물
- 휘발유 증기 (Gasoline Vapor) : 내연기관 내 연료가 기화 상태(증기)이어야 연소가 잘 일어남
2. 액체 (과냉각액, 압축액, 포화액), 증기 (포화 증기, 과열 증기), 기체 비교
ㅇ 항상 응축 상태에 있는 액체 상(相) : 액체 (Liquid)
- 쉽게 증발하지 않는 액체 : 과냉각액,과냉액 (Subcooled Liquid), 압축액 (Compresses Liquid)
. 주어진 압력에서, 포화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액체 : 과냉각 액체
. 주어진 온도에서, 포화 압력 보다 낮은 압력의 액체 : 압축 액체
- 쉽게 증발하려는 액체 : 포화 액체 (Saturated Liquid)
. 포화 온도와 포화 압력에서, 액체로 존재할 때
ㅇ 거의 응축 상태에 있는 기체 상(相) : 증기 (Vapor)
- 쉽게 응축될 수 있는 증기 : 포화 증기 (Saturated Vapor)
. 포화 온도와 포화 압력에서, 증기로 존재할 때
- 잘 응축하지 않고 증발되기 쉬운 증기 : 과열 증기 (Superheated Vapor)
. 포화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 있을 때의 증기
. 과열 증기에서는, 압력과 온도가 서로 독립 상태량 임
.. (일정 압력 하에서도 온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ㅇ 실온에서도 완전 기체 상(相) : 기체 (Gas)
3. [참고사항]
ㅇ 증기압 (Vapor Pressure) : 액체 표면 층에 존재하는 기체 분자들이 갖는 압력
ㅇ 건도 (quality)
- 포화 온도에서 일부는 액체, 일부는 증기로 존재할 때, 혼합물 전체 질량에 대한 증기 질량의 비
. x = m증기 / m전체
- (특징)
. 강성적 상태량 임
. 물질이 포화 상태(포화 압력, 포화 온도)에 있을 때 만 의미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