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RC 상태

(2025-10-27)

RRC_CONNECTED, CONNECTED , RRC_IDLE, IDLE , RRC_INACTIVE, LTE 이동성 절차


1. LTE5G NRRRC 상태 기반 이동성 절차무선단말(UE)은, 트래픽 활동,네트워크 연결 정도에 따라, 여러 다른 RRC 상태들이 가능
     - 이들 RRC 상태는, 
        .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방식(셀 재선택,핸드오버 등)과 전력 소모, 시그널링 절차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따라서, LTE5G NR에서는,
        . 각 상태에 맞추어 이동성 절차를 다르게 설계2. 4G LTERRC 상태이동성RRC_IDLE  :  (대기 모드)
     - 무선자원제어(RRC)과의 연결이 안된 상태로써,
        . 무선단말 기반으로, 이동성을 수행함
     - 무선단말이 특정 셀에 연결이 안된(소속이 안된) 상태
        . 쉽게, 잠자고(sleep) 있을 때
     - 이 모드 하에서는, 무선단말 스스로 셀 재선택에 의해, 자율적 핸드오버를 수행함
        . 무선단말은, 수신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페이징 채널모니터링 하고,
        . 이로부터 셀 시스템 정보를 얻으며,
        . 이웃 셀 측정 및 셀 선택을 스스로 수행 함

  ㅇ RRC_CONNECTED  :  (연결 모드)
     - 무선자원제어(RRC)과의 연결이 된 상태로써, 
        . 네트워크 기반으로, 이동성을 수행함
     - 무선단말이 특정 셀에 연결된(소속된) 상태
        . 시그널링 전송용으로 특정 무선단말 식별을 위해,
        .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부여됨
     - 이 모드 하에서는, 네트워크 측이 주도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
        . 무선단말네트워크데이터를 송수신 함
        . 무선단말제어 채널모니터링 하게 됨
        . 무선단말측정 결과 보고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측이 핸드오버 수행


3. 5G NRRRC 상태이동성RRC_IDLE
     - LTE와 유사하게, RRC 연결이 해제된 대기 상태
     - 무선단말(UE)은, 
        . 대부분 시간 동안 idle state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임 
        .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을 통해 자율적으로 이동성 수행
        . 페이징 채널 수신 및 시스템 정보 모니터링 수행

  ㅇ RRC_INACTIVE  :  (5G NR에서 새로이 도입)
     - 5G NR에서 새로 도입된 중간 상태
     - 도입 목적 : 빈번한 RRC 연결/해제 절차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
        . RRC 연결 설정 정보 일부를 유지한 채 비활성화 상태로 진입
     - 특징
        . UE네트워크와 `부분적 연결` 상태 유지
        . Paging 수신 가능
        . 이동성은 주로 UE 주도형으로 수행하지만,
          필요 시 재활성화(RRC Resume) 절차를 통해 빠르게 Connected 상태 복귀 가능
        . 기지국(gNB) 은 UE의 위치를 Tracking Area 단위로 파악
     - 활용 例)
        . 주기적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oT 단말, 혹은 간헐적인 트래픽을 가진 단말

  ㅇ RRC_CONNECTED
     - LTERRC_CONNECTED와 유사
     - gNB와의 완전한 RRC 연결 상태
     - 네트워크핸드오버를 주도, UE측정 보고 수행
     - 지속적인 데이터 송수신 가능


4. [요약 비교]  

  ※ (범례 : ① LTE RRC_IDLE,  ② LTE RRC_CONNECTED, 
             ③ 5G RRC_IDLE,  ④ 5G RRC_INACTIVE,  ⑤ 5G RRC_CONNECTED)
  ㅇ RRC 연결 여부 (데이터 전송)
     - ① 연결 안됨 (전송 불가),  ② 연결됨 (전송 가능),
     - ③ 연결 안됨 (전송 불가),  ④ 부분 유지 (전송 불가),  ⑤ 연결됨 (전송 가능)
  ㅇ 이동성 주체
     - ① UE,  ② 네트워크(eNB),
     - ③ UE,  ④ UE,  ⑤ 네트워크(gNB)
  ㅇ 주요 수행 동작
     - ① 셀 재선택에 의한 자율적 핸드오버,  ② 네트워크 측에 의한 주도적 핸드오버,
     - ③ 셀 재선택에 의한 자율적 핸드오버,  ④ 셀 재선택 + 빠른 재활성화,  
       ⑤ 네트워크 측에 의한 주도적 핸드오버
  ㅇ 전형적 사용 상황
     - ① 대기, 슬립 모드,  ② 통화/데이터 통신,
     - ③ 대기 상태,  ④ IoT/비연속 트래픽,  ⑤ 활성 데이터 통신

LTE 엑세스 절차
1. LTE 엑세스   2. LTE 셀 탐색   3. LTE 식별   4. LTE 시스템 정보   5. LTE 이동성 절차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