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제 산업 기본 용어
  ㅇ 가격 (Price)
     - 수요와 공급 (가격 결정 요인)의 균형값
  ㅇ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 한 나라의 가계,기업,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3개월 or 1년) 창출한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합계
     - 중간재, 중고품, 비 시장 거래, 지하 경제 등은 합산에서 제외됨
     - 자국민,외국인 창출 모두 포함
     - 국내총생산,국내총지출,국내총소득 모두 같음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 국가간 경제력 비교, 국가성장속도 측정 등에 이용됨
  ㅇ 국민총생산 (Gross National Product, GNP)
     - 일정기간 동안 그 나라 국민이 창출한 부가가치의 총계
        . 해외 자국민 생산 부가가치도 포함
        . 국내 외국인 생산 부가가치는 제외
  ㅇ 경기 순환 (Business Cycle)
     - 경기의 확장(상승)과 수축(하강)이 교대로 반복되는 순환적인 움직임
        . 자본주의 경제 체제 하에서는 필연적임
  ㅇ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
     - 중앙은행이 통화를 시중에 직접 공급하여 경기를 부양시키는 통화 정책
  ㅇ 신자유주의 (Neoliberalism)
     - 1980년대 이후 주류를 이루었던, 정부 규제 최소화, 자유 경제 중시 이론
        .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등이 주장
  ㅇ 대출 (Loan, 貸出)
     - 미래의 현금흐름을 지금 활용하려는 것
  ㅇ 무역 (Trade, 貿易) 
     - 상품의 효용 가치가 적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양시켜, 재화의 효용 및 경제 가치의 증가 행위
     - 재화의 생산 요소(원료,서비스,운송,여객,노동,자본 등)의 이동까지 포함한 행위
  ㅇ 서비스 (Service)
     - 마케팅 학자인 필립 코틀러(Phillip Kotler)는, 서비스를,
       . 본질적으로 무형적이며, 소유권의 변동 없이, 한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활동이나 효익
     - 주요 특성 : 무형성, 비분리성, 변동성, 고객의 참여, 산출물 측정의 곤란성 등 
  ㅇ 시장 (Market)
     - 사람이 자신의 욕구들을 최고로 만족하며, 다른 사람들과 상품,서비스를 교환하는 곳
     - 즉, 재화,서비스가 거래되고, 가격이 결정되는 장소
  ㅇ 수직 산업 (Vertical Industry)
     - 특정한 산업 분야나 시장 세그먼트에서 활동하는 기업이나 조직 집단
     - 즉, 특정 산업의 가치 사슬을 따라 깊이 연관된 기업들이 포함된 산업군
        . 例) 금융 (은행, 보험, 핀테크 등), 헬스케어 (병원, 제약, 의료기기 등)
  ㅇ 대량 생산 (Mass Production, 大量生産)
     - 규격화된 물품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제조 원가를 낮추는 것
2. 경제 산업 혁신 용어 (디지털 경제)
  ㅇ 디지털 기술 (Digital Technology)
     -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AI), 공유 플랫폼 등 응용 기술들이
       수학, 과학, ICT 등 기초 기술과 다양하게 융합되고, 이로써 정보가 결합된 기술을 일컬음
  ㅇ 디지털 전환 (DX, Digital Transformation)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 방식, 비즈니스 모델, 프로세스, 조직 문화를 혁신하는 과정
        . 단순히 아날로그 작업을 디지털화하는 것을 넘어, 일하는 업무 절차와 방식, 
          조직의 구성 및 의사 소통 구조,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의 창출 등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