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평형 상수 (Equilibrium Constant)
ㅇ 평형 상태 하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관계를 나타낸 상수 (농도 비 比)
- 단위가 없는 양(量)
ㅇ 주어진 온도에서, 반응물의 초기 농도가 다르더라도 (섞인 양과 관계없이),
- 평형 상태 하의 평형 상수는, 일정 상수 값을 갖으므로 (항상 같은 비율 값을 갖으므로),
- 서로다른 평형 위치 하의 평형 농도는, 계산이 가능하게 됨
2. 평형 상수의 정의/표기
ㅇ 화학반응식
[# aA +bB \; \longleftrightarrow \; cC + dD #]
ㅇ 평형식 (Equilibrium Expression)
[# Q \; \text{or} \; K = \frac{[C]^c [D]^d}{[A]^a [B]^b} #]
* 위 식을, 질량작용법칙(Mass Action Law) 이라고 함
- Q : 반응 지수 (Reaction Quotient)
. 반응 지수는, 반응에 따른 지수를 나타냄
- K : 평형 상수 (Equilibrium Constant) (평형 농도 비)
. 평형 상수는, 반응 지수가 평형계 특성을 나타낼 때 즉, 일정 상수일 때를 말함
. 만일, K > 1 이면, 정반응이 유리한 경우
- 대괄호 [ ] : 각 화학종(A,B,C,D)의 몰농도 표현
- 분모 : 반응물 몰농도의 곱
- 분자 : 생성물 몰농도의 곱
- 각 항의 지수값(a,b,c,d) : 균형 화학 반응식에서 각 항의 계수(화학량론 계수) 값임
ㅇ [관례]
- 용질의 농도는, [mol/L (M)]
- 기체는, 농도 보다는 기압(bar)으로 나타냄
[# K_p = \frac{[P_C]^c [P_D]^d}{[P_A]^a [P_B]^b} #]
- 순수 고체,액체 및 용매의 농도는, 1 이므로 생략 가능
3. 평형 상수의 활용
ㅇ 반응 방향의 예측
ㅇ 평형 농도의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