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al Analysis   모드 해석

(2025-01-11)

Normol Mode, 정규 모드, 고유 모드, Mode Shape, 모드 형상


1. [진동, 결합 진동, 다 자유도계]  복잡한 운동 패턴

   ※ 여러 질량체를 갖는 (다수의 관성 요소들을 포함하는) 계에서는, 복잡한 운동 패턴이 있게 됨


2. [진동, 결합 진동, 다 자유도계]  모드 형상, 모드 해석모드 형상 (Mode Shape)
     - 각각의 고유진동수에 대응하며 진동하는 변형 형상을 의미
        . 2 이상의 질량 또는 자유도 사이의 상대운동을 하는 벡터로 표현 가능

     - 고유의 진동 특성이 다음과 같음
        . 고유 진동수 및 이에 대응되는 고유 진동 모드가 있게됨
        . 각 모드는, 특정 방향과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의 고유한 형상과 진폭을 나타냄

     - 모드 차수
        . 저차 모드로써, 가장 쉽게 변형할 수 있는 형상 부터,
        . 고차 모드로 갈수록, 해당 모드 형상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아짐

     - 모드 형상은, 직교성과 관련됨

  ㅇ 모드 해석 (Modal Analysis)
     - 진동 해석시, 계의 응답을 고유 진동 모드의 조합으로 해석하는 방법


3. [진동, 결합 진동, 다 자유도계]  정규 모드

  ㅇ 정규 모드 (Normol Mode) / 주 모드 (Principal Mode) / 고유 모드 (Natural Mode)
     - 여러 좌표들 간에 일정한 의존 관계
        . 다 자유도계에서, 결합 진동은 여러 고유진동수를 갖지만, 
        . 이들을, 비감쇠 자유 진동하는 각각의 고유진동수별로 국한시켜 볼 때,
        . 이때, 여러 좌표들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는데,
        . 이러한 의존 관계를 말함

     - 수학적으로, 정규 모드를, 고유값에 대응되는 고유함수로 곱해지는 형태를 말함

진동(조화운동)
1. 단순 조화진동   2. 조화진동   3. 단조화 운동방정식   4. 기본 주파수   5. 결합(Coupling)   6. 결합 진동   7. 맥놀이   8. 비감쇠 자유 진동   9. 모드 해석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진동(조화운동)]1. 단순 조화진동   2. 조화진동   3. 단조화 운동방정식   4. 기본 주파수   5. 결합(Coupling)   6. 결합 진동   7. 맥놀이   8. 비감쇠 자유 진동   9. 모드 해석  

  1. Top (분류 펼침)      :     1,607개 분류    6,631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