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x Propagation Constant, Complex Wave Number   복소 전파정수, 복소 파수

(2020-10-01)

Phase Constant, 위상 상수, 위상 정수, Attenuation Constant, 감쇠 정수, 감쇠 상수


1. 복소 파수(Complex wave number), 복소 전파정수(Complex propagation constant)파수 (Wave Number)
     - 파동의 진행 거리(파장)의 역수 또는 단위길이당 위상천이(라디안 위상차)

  ㅇ 전파 정수 (Propagation Constant)
     - 매질을 고려한 파수

  ㅇ 복소 파수 (Complex Wave Number), 복소 전파정수 (Complex Propagation Constant)
     - 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매질 특성(ε,μ등)을 반영토록 복소수 형태를 띔
        . 주파수에 의존하는 매질에서의 감쇠(손실) 및 위상 변동을 모두 내포하는 개념


2. 복소 전파정수(감쇠정수, 위상정수)의 정의(유도)시변정현파계({#jω#})에 대한 헬름홀츠 파동방정식에서,
        
[# \nabla^2 \mathbf{E}_s - γ^2 \mathbf{E}_s = 0 \quad \text{or} \quad \nabla^2 \mathbf{E}_s + k^2 \mathbf{E}_s = 0 #]
[# γ^2 = (jk)^2 = jωμ(σ+jωε) #]
- {#μ#} : 투자율 - {#ε#} : 유전율 - {#σ#} : 도전율 ㅇ 복소 전파정수 : {# γ(jω) = jk = α(ω) + jβ(ω) #} [1/m] - {#γ(jω)#} : 복소 전파정수 (Complex Propagation Constant)
[# γ^2 = (α + jβ)(α + jβ) = α^2 - β^2 + 2jαβ #]
- {#k#} : 파수 (Wave Constant) 때론, 파수 벡터 (Wave Number Vector) - {#α#} : 감쇠 정수 (Attenuation Constant) - {#β#} : 위상 정수 (Phase Constant) 또는 파수(Wave Number) ㅇ 다음 두 식으로부터, {#α#},{#β#}에 대해 각각 정리하면,
[# Re[γ^2] = α^2 - β^2 = -ωμε \\ |γ^2| = α^2 + β^2 = ωμ \sqrt{ω^2ε^2 + σ^2} #]
ㅇ {#α#} : 감쇠 정수 (Attenuation Constant)
[# α = ω \sqrt{\frac{με}{2}\left( \sqrt{1+\left( \frac{σ}{ωε} \right)^2} - 1 \right) } #]
- 파가 진행하며 단위길이당 감소되는 율 [ dB/m ] ☞ 감쇠계수 참조 . 매질 내에서 파의 공간감쇠율 . 진행파가 겪는 도체 또는 유전체 손실에 의한 감쇠 ㅇ {#β#} : 위상 정수 (Phase Constant) 또는 파수(Wave Number)
[# β = ω \sqrt{\frac{με}{2}\left( \sqrt{1+\left( \frac{σ}{ωε} \right)^2} + 1 \right) } #]
- 파가 진행한 단위길이당 위상차(위상변화량) [ Radian/m ] * 주파수 의존성이 있을 때는 `파수 k` 보다는 `위상정수 β`로 주로 표기함 3. 매질을 고려한 `공간 전자기파(평면파)`의 복소 전파정수자유 공간 (Free Space) - 매질이 없으므로, ({#σ=0#}, {#ε=ε_o#}, {#μ=μ_o#}, {#α=0#}) - 또한, 감쇠도 없으므로, 실수부 감쇠정수는 0 이며, 허수위상성분 만 드러남
[# β = ω\sqrt{με} = ω\sqrt{μ_oε_o} = \frac{ω}{c} = \frac{2π}{λ} #]
ㅇ 무 손실 매질 (Lossless Dielectric, 완전 유전체) - 매질이 있으나, 완전 유전체이므로, ({#σ\approx0#}, {#ε=ε_oε_r#}, {#μ=μ_oμ_r#}, {#α=0#}) . (완전 유전체 : 전자기파전파하면서 전력을 하나도 잃지않음)
[# γ = jβ = jk \\ k = β = ω\sqrt{με} = \frac{2πf}{v} = \frac{2πf}{fλ} = \frac{2π}{λ} #]
손실 매질 (Lossy Dielectric, 불완전 유전체, 손실 유전체) - 매질이 있으나, 불완전 유전체이므로, ({#σ\neq0#}, {#ε=ε_oε_r=ε_c#}, {#μ=μ_oμ_r#}, {#α\neq0#})
[# γ = α + jβ = \sqrt{jωμ(σ+jωε)} = jω\sqrt{με}\sqrt{1-j\frac{σ}{ωε}} #]
- 불완전 유전체는 다음과 같이 복소 유전율로도 표현 가능
[# ε_c = ε_oε_r = ε_o(ε_r'-jε_r'') = ε'-jε'' \\ \quad = ε(1-j\frac{σ}{ωε}) = ε(1-j\tanθ) #]
양 도체 (Good Conductor) - 매질이 있으나, 양질의 도체이므로, ({#σ\approx\infty#}, {#ε=ε_o\ll1#}, {#μ=μ_oμ_r#}, {#α\neq0#}, {#σ/ωε\gg1#}) - {#σ/ωε\gg1#}에 따라, 감쇠정수,위상정수가 각각 다음과 같이 되어,
[# α = β = \sqrt{\frac{ωμσ}{2}} = \sqrt{πfμσ} #]
- 전자기파가 급격히 감소되며 표피효과가 나타남 . 표피깊이 :
[# δ = \frac{1}{α} = \frac{1}{\sqrt{πfμσ}} = \sqrt{\frac{2}{ωμσ}} #]
완전 도체 (Perfect Conductor) - 무한의 전도율을 갖으며, ({#σ=\infty#}) - 외부 의 변화에 그대로 따르며, 어떤 복원력도 없으며, 어떤 고유진동수도 없고, - 어떤 흡수도 없고, 표피효과도 없이, 단지 재방출 만 있게 됨 4. 매질을 고려한 `전송선로 전류파/전압파`의 복소 전파정수 ※ ☞ 전송선로 복소 전파정수 참조

평면파 매질 손실 고려
   1. 전파정수   2. 복소 전파정수   3. 복소 유전율   4. 손실 탄젠트   5. 고유 임피던스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기술용어해설 후원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