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twork Function, Circuit Transfer Function   회로망 함수, 회로망 전달함수 | (2020-01-17) | 
| Circuit Response, 회로망 응답, Driving Function, 구동점 함수, 구동점 임피던스, 구동점 어드미턴스, Trans Impedance, 전달 임피던스 | 
1. 회로망 함수(Network Function) 또는 회로망 응답(Circuit Response)
  ㅇ 회로망의 입출력 성질을 나타내는 함수
2. 회로망 입출력 성질을 나타내는 比
  ㅇ 복소주파수 변수의  입력(여기) 대 출력(응답)의 比
     - 회로가 복소 주파수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여줌
        . 대부분 복소주파수 s의 유리함수로 주어짐
           .. 복소 주파수영역(σ+jω) 또는 라플라스 변환영역(s)에서 정의됨
  ㅇ 2개의 전기량의 比 
     - 라플라스변환된 2개의 전기량의 比
        . L{ 정상상태 여기(입력) } / L{ 정상상태 응답(출력) }
        . 전압비,전류비,임피던스,어드미턴스
     - 입력신호 페이저에 대한 출력신호 페이저의 比
3. 회로망 함수의 구분 : `구동점` 및 `전달`
 
  ※ 출력 응답이 회로망의 입력측(구동점)에 있는가 또는 출력측(전달)에 있는가에 따라
  ㅇ 회로망 구동점 함수(Driving-point Function) : 응답이 입력과 같은 측에 있음
     - 하나(입력측)의 단자쌍에서만 정의되는 함수
        . 이로부터 단자쌍 나머지 특성을 유추해볼 수 있음
     - 회로망 구조에 따라 2가지 종류 가능
        . 구동점 임피던스 함수 (직렬 구조)
        . 구동점 어드미턴스 함수 (병렬 구조)
  ㅇ 회로망 전달 함수(Transfer Function)        : 응답이 출력측에 있음
     - 서로 다른 단자쌍에서 정의되는 함수
        . 서로다른 양 단자간의 전압,전류의 입출력 비로 정의됨
     - 회로망 구조에 따라 4가지 종류 가능
        . 전압 전달함수(전압이득) :  Gv(s) = Vo/Vi  [무차원]
        . 전류 전달함수(전류이득) :  Gi(s) = Io/Ii  [무차원]
        . 전달 임피던스 함수(트랜스 임피던스) :  Z(s) = Vo/Ii  [Ω]
        . 전달 어드미턴스 함수(트랜스 어드미턴스) :  Y(s) = Io/Vi  [S]
4. 회로망 함수의 표현
   ㅇ 일반적으로 회로망함수 H(s)는 분모 다항식과 분자 다항식의 비의 형태를 갖음
     - 분모,분자 다항식 모두 실 계수를 갖는 유리함수
  ㅇ 일반적으로 회로망함수 H(s)는 분모 다항식과 분자 다항식의 비의 형태를 갖음
     - 분모,분자 다항식 모두 실 계수를 갖는 유리함수
      - 이 식이 바로 선형시불변 시스템에 대한 표현식임
  
5. 주요 관련 용어
  ㅇ 극점(Pole) 및 영점(Zero)
     - 이 식이 바로 선형시불변 시스템에 대한 표현식임
  
5. 주요 관련 용어
  ㅇ 극점(Pole) 및 영점(Zero)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