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Traffic Management, IP Traffic Management   인터넷 트래픽 관리, IP 트래픽 관리

(2023-08-30)

Congestion Avoidance, 혼잡 회피


1. 인터넷 트래픽 관리 기술

  ㅇ 일반적으로, QoS 보장(Assurance)을 위해,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되는 기술을 총칭

  ㅇ 인터넷 트래픽 관리의 궁극적인 목표 :  인터넷 QoS 의 보장
     - 단일 기술로는 효율적이지 않고, 다양한 통신계층에서 여러 기술들이 복합 사용 됨 


2. 구분

  ㅇ 기술적 트래픽 관리 (주로 장비 상에서 구현)

     - 큐잉 관리 또는 스케쥴링 기법
        . 보통, 패킷 단위 별로 단일 관리 장비에서 이루어짐
           .. FIFO, PQ (Priority Queuing)
           .. CBQ (Class-Based Queuing)
           .. WFQ (Weighted Fair Queuing) 등

     - 트래픽 쉐이핑(Traffic Shaping) 또는 트래픽 컨디셔닝(Traffic Conditioning)
        . 보통, 패킷 단위 별로 네트워크 입출입 노드(Edge)에서 이루어짐
           .. Leaky Bucket 방식
           .. Token Bucket 방식
           .. 복합 방식

     - 수락제어 (Admission Control)
        . 보통, 세션 연결 단위에서 여러 관리요소들의 협동에 의해 이루어짐
           .. 어떤 종류의 트래픽네트워크로 받아들일 것인가를 결정하는 정책 관리

     - 사전 패킷 폐기 (Prpactive Packet Discard)
        . RED, WRED 등

     - 혼잡 회피 (Congestion Avoidance)
        . 혼잡에 영향을 주기 전에 큐잉 패킷을 폐기하거나 송신율을 낮추는 등의 방법
           .. 例) 혼잡이 감지되면, 
                  지수적(빠름)이 아닌 가산적(느림)인 증가 방식을 채택하는 등   ☞ TCP 혼잡 제어정책 기반(Policy-based)의 트래픽 관리
     - 관리요소 : 정책 편집, 정책 충돌 방지, 정책 생성 등

트래픽 관리
1. 트래픽 관리 (인터넷)   2. 트래픽 엔지니어링   3. 수락 제어   4. MRTG   5.
스케줄링 기법
  6.
혼잡 제어
  7.
트래픽 성형
  8.
사전 패킷 폐기(RED,WRED)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