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uing, Queueing   큐잉

(2022-03-02)

Queuing Policy, 큐잉 정책, Queuing Delay, 큐잉 지연, Queue Management, 큐 관리


1.  처리 방식 (정책, Queuing Policy)                 ☞ 스케줄링 기법, 혼잡제어  참조

  ※ 연이어 도착, 줄지어 기다리는 대기열의 처리를 위한, 입력/출력(삽입/삭제) 순서에 대해,
     - 다음과 같이 정책에 따라, 여러 잉 형태(방식)이 가능함

  ㅇ FIFO (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
     - 먼저 입력된 것이 먼저 출력되는 형태
     -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단지 라고하면 보통 이런 형태를 일컬음

  ㅇ FILO (First In Last Out, 선입후출)
     - FIFO와는 반대의 개념
 
  ㅇ LILO (Last In First Out Queue, 후입선출) 
     - 마지막 입력되는 것이 먼저 출력됨
     - 한쪽끝에서만 삽입 삭제됨                     ☞ 스택(Stack) 참조

  ㅇ PQ (Priority Queuing, 우선순위 큐잉)
     - 우선순위에 따라 각 를 차별적 관리
        . 임의 순서로 삽입되나(입력/추가), 일정 순서로 삭제됨(출력/제거)

  ㅇ FQ (Fair Queuing)
     - 각 를 공정하게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서비스함

  ㅇ WFQ (Weighted Fair Queuing)
     - 각 에 어떤 가중값이 할당되는 FQ의 변형된 방식

  ㅇ CQ (Custom Queuing)

  ㅇ CB-WFQ (Class-Based Weighted Fair Queuing)


2.  처리 가능 장치(스위치 등)에서 를 두는 위치

  ※ 방금 전 도착한 프레임을 처리하는 동안 새로 도착하는 프레임에 대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버퍼의 위치

  ㅇ 입력 측 : 입력 잉
  ㅇ 내부 측 : 내부 스위치
  ㅇ 출력 측 : 출력 3.  처리 지연시간 구분 (Queuing Delay, 지연)스위칭 지연 시간
     - 처리장치 내에서 스위칭 패브릭 등에서의 성능

  ㅇ 버퍼링 지연 시간
     - 버퍼 내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레임 수와 대기하고 있는 프레임들을 처리하는
        처리 서비스 알고리즘( 처리방식)에 따라 가변적임


4. 패킷교환망  처리잉(Queuing Theory) 이론을 사용하여,
     - 통신설비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함으로써,
     - 버퍼에서 지연되고 손실이 발생하는 현상들을 정량적으로 분석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