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이썬의 숫자형 자료형
ㅇ 숫자형 자료형의 구분 셋 : int(정수형), float(실수형), complex(복소수형)
- 이외에도,
. 고정 정밀도 소수, 분자/분모가 있는 유리수, 집합 등이 있음
ㅇ int(정수형)
- 3.x 부터는, long형이 사라지고, int형이 크기 제한 없는 부호 있는 정수형이 됨
. 즉, int는 임의 정밀도 지원, 내부적으로 int가 충분 않으면 자동으로 long 타입 변환됨
- 사실상, 파이썬 정수형의 크기는, 다른 언어가 컴파일러에 의해 제한되는 것에 비해,
순전히 컴퓨터 메모리에 의해서 만 제한됨
- 그러나, 하한은 (적어도) 4 바이트(32 비트) 이상
ㅇ float(실수형)
2. 파이썬의 숫자형 자료의 취급 방식 (숫자 리터럴)
ㅇ 진법 표현
- (2진수) `0b`(숫자 0과 소문자 b)으로 시작
- (8진수) `0o`(숫자 0과 소문자 o)으로 시작
- (16진수) `0x`(숫자 0과 소문자 x)으로 시작
ㅇ 진법 변환
- (10진법 → 2진법 변환) bin(정수)을 사용 (문자열 반환)
- (다른 진법 → 10진법 변환) int(다른 진법의 문자열, 밑수)
. 여기서, 밑 수는, 2 ~ 36 까지 가능
. 例) int('1101',2) => 13
ㅇ 강제 형 변환
- int(표현식) : int(2.2) => 2, int(3/2) => 1, int('10') => 10
- float(표현식)
ㅇ 정수형 크기의 바이트 수의 확인 : (정수).bit_length() 메서드
ㅇ 복소수 표현
- 실수부,허수부의 합으로 표현 : 例) 3 + 4j, 3.0 + 4.0j, 3j 등
. 한편, `j`는 문자 변수로 보고, 이는 `1j`로 표현해야 함
. 한편, `3+0j`는 허수부가 0 인 복소수로 간주됨
- 복소수의 실수부,허수부 접근 例) (1 + 3j)
. x.real => 1.0 , x.imag => 3.0
ㅇ 특별한 숫자 표현
- Inf : +∞
- NaN : Not a Number,부정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