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conductor   반도체

(2024-11-19)

1. 반도체 (Semiconductor)금속에서, 자유전자의 손쉬운 이동으로, 열전달,전기전도도가 좋은 것과는 달리,

  ㅇ 반도체는,
     - 원자와 그에 속박된 전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에너지밴드 갭에 의해,
     - 절연체전도체의 중간적 성질을 갖는 물질도체 부도체 반도체 비교 참조

  ㅇ 반도체의 구조는,
     - 각 원자가 4개의 원자에 의해 둘러싸여있고, 
     - 주위의 원자들이 4개의 최외각 전자를 공유하며,
     - 이들 원자들이 주기적으로 배열결정구조를 갖음     ☞ 다이아몬드 결정구조 참조


2. 반도체의 특징최외각전자에 의한 공유결합
     - 최외각 전자가 4개이며, 
          
     - 4개의 공유결합을 통해 결정을 이룸

  ㅇ 온도,조명(),자계,불순물 농도에 대한 민감성
     - 이러한 민감성이 특정 응용별로 좋은 장점을 갖음

  ㅇ 전기전도성의 인위적 정밀 조절 가능
     - 반도체 재료 선택, 제조 공정, 모양/형태, 외부 바이어스 등에 의해 조절 가능
        . 전기적 특성이, 주로, 불순물 캐리어농도에 의존함
           .. 즉, 주입 불순물의 종류 및 량에 의해, (전기전도) 전류 제어가 가능

     * 한편, 반도체,금속 간의 전기전도도 비교
        . 비록 반도체 내 전하 이동도금속 보다 크지만, 
        . 반도체의 캐리어 농도가 훨씬 작아, 금속에서의 전기전도도가 더 크게 됨
           .. 반도체 전기전도율은, 대략 10-8 ~ 104 [S/㎝]
           .. 금속 전기전도율은, 대략 104 ~ 이상 [S/㎝] 

  ㅇ 에너지 밴드 갭
     - 전도대가전자대 사이에 금지된 에너지 밴드 갭이 있게됨
     * 에너지 밴드 갭은, 반도체의 핵심 특징임

  ㅇ 결정구조
     - 다이아몬드 결정구조

  ㅇ 반도체 결함
     - 불순물 원자 (의도적 주입,제조상 불가피한 혼입) 및 결정결함


3. 반도체의 분류 

  ㅇ 불순물 포함 여부에 따라
     - 진성 반도체 (intrinsic, 진성)
        . 불순물 원자결정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반도체
     - 불순물 반도체 (extrinsic, 외인성)
        . 불순물을 포함
        . 어느 한 종류의 반송자가 다른 종류에 비해 많음
        . 종류 :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보상 반도체

  ㅇ 반도체 원소 구성에 따라
     - 원소 반도체 (Element Semiconductor)
        . Si, Ge 등 (4족 원소)   ☞ Si Ge 비교 참조
     - 화합물 반도체 (Compound Semiconductor)
        . 이원계 (binary)
           .. 3족-5족 : GaAs (갈륨 비소), GaP (갈륨 인), GaSb, InP (인듐인), InAs, InSb, AlP,
                        AlAs 
           .. 2족-6족 : ZnSe, ZnTe (텔루르화 아연), CdS (황화 카드뮴), CdTe 등
           .. 4족-4족 : SiC (실리콘 카바이드) 
        . 삼원계 (ternary) : AlxGa1-xAs 등
        . 사원계 (quarternary) : AlxGa1-xAsySb1-y 등
     - 산화물 반도체 (Oxide Semiconductor)
        . 가스 센서, 디스플레이 등에 쓰임
           .. 산화물 반도체가 가스를 흡수하면 전기저항이 변하는 현상 등을 이용
           .. 例) SnO2, ZnO, Cu2O 등
        . 통상, 전자이동도가 크고, 정공이동도가 매우 작은, 공통된 특징이 있음

  ㅇ 반도체 내 전하캐리어의 생성,소멸 방식에 따라
     - 직접 천이형 반도체 : 例) GaAs, GaN 등과 같은 화합물 반도체
     - 간접 천이형 반도체 : 例) Si,Ge 등

  ㅇ 반도체 고체 형태에 따라                                                       ☞ 결정학 참조
     - 비결정성/비정질 (Amorphous) : 수 개 정도의 원자,분자 크기 내에서 만 질서 있음
     - 결정성/결정질 (Crystalline) 
        . 단결정체(Single Crystal) : 반도체 전체에 걸쳐 질서 있음             ☞ 단결정 성장 참조
        . 다결정체 (Poly Crystal)  : 꽤 많은 원자,분자 크기 내에서 만 질서 있음  ☞ 다결정 실리콘 
           .. 크기 및 방향이 다른 단결정체(결정립)가 불규칙적으로 모여 전체를 구성


4. 반도체의 제조 

  ※ ☞ 단결정 성장, 웨이퍼 참조
     - 고 순도 단결정 : 정확한 전기 전도 특성의 제어를 위해 순수한 단결정이어야 함

  ※ ☞ 반도체 집적공정 참조 
     - 순수 단결정으로부터 디바이스 제작에 이르는 공정 기술


5. 반도체의 전기전도전기전도성의 원인 : 전하캐리어이동 현상
     - 반도체 내 전하캐리어의 종류 : 전자(전도대전자), 정공(가전자대의 홀, 구속전자)
     - 반도체 내 전하캐리어의 생성/소멸 ☞ 직접 재결합, 간접 재결합 등 참조
     - 반도체 내 전하캐리어 밀도캐리어 농도 참조
     - 반도체 내 전하캐리어의 이동 ☞ 전하 이동 (전류) 참조
        . 반도체 접합 점/면에서, 전자 또는 정공전하 운반체(전하 캐리어)의 이동 현상
           .. 확산 현상 (Diffusion) : 불순물 농도가 큰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
           .. 드리프트 현상 (Drift) : 외부 인가 전계에 의해 이동
     - 반도체 내 전하캐리어의 이동 용이성 ☞ 이동도, 전도도 참조


6. 반도체의 응용성전기전도 제어 (전류 제어, 증폭기, 전력변환기 등)
  ㅇ 광 발생 (발광 소자), 광 센서 (포토다이오드, 이미지센서 등)
  ㅇ 소형화 (집적공정) 등


7. 반도체의 응용 소자다이오드다이오드 응용 참조
  ㅇ 트랜지스터 (1947년 Bardeen,Bratten,Shockley 발명 : BJT, FET)
  ㅇ 집적회로 (1958년 Jack Kilby 발명)
  ㅇ 열전 소자 (열,전기 간의 관계를 이용 : 펠티에효과 등)
  ㅇ 저항 소자 (온도,전압,응력 등에 따라 변하는 저항 특성을 이용 : 서미스터,바리스터,압전소자 등)
  ㅇ 전력 스위칭 소자 (대 전류,고 내압,고 내열화,고 신뢰성 등을 필요 : 사이리스터 등)
  ㅇ 전광 소자 (LD, LED)

반도체
1. 반도체   2. 반도체 용어   3.
도체 전도성
  4.
반도체 기초
  5.
반도체 재료
  6.
반도체 에너지밴드
  7.
반도체 에너지준위
  8.
반도체 평형상태
  9.
반도체 전하 이동
  10.
반도체 접합
  11.
다이오드
  12.
트랜지스터
  13.
집적공정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반도체]1. 반도체   2. 반도체 용어   3. [도체 전도성]   4. [반도체 기초]   5. [반도체 재료]   6. [반도체 에너지밴드]   7. [반도체 에너지준위]   8. [반도체 평형상태]   9. [반도체 전하 이동]   10. [반도체 접합]   11. [다이오드]   12. [트랜지스터]   13. [집적공정]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