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섬유의 분류
ㅇ 재질, 단면상의 굴절률 분포, 전파모드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구분됨
2. 광섬유 분류 기준 및 종류
ㅇ 전파모드에 따른 분류
- 멀티모드 광섬유 (Multi Mode Fiber) : 코어의 직경이 50~62.5㎛
. 계단형 굴절율 광섬유 (Step Index Fiber)
. 언덕형 굴절율 광섬유 (Graded Index Fiber)
- 단일모드 광섬유 (Single Mode Fiber) : 코어의 직경이 5~10㎛
. 표준 단일모드 광섬유 (SSMF, G.652)
. 분산 천이형 광섬유 (DSF, G.653)
. 비영분산 광섬유 (NZ-DSF, G.655)
* 장거리용으로는 대부분 단일모드 사용
* 최근에는 중단거리에서도 단일모드 광섬유 사용이 점차 늘어남
ㅇ 재질에 따른 분류
- 석영계 : 장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괌섬유 (GOF,유리)
- 비석영계 : 합성 유리 광섬유, 플라스틱 광섬유(POF,플라스틱), 다성분계 광섬유 등
ㅇ 코팅에 따른 분류
- 단일코팅 광섬유 : 코어 + 클래딩 + 1차 코팅 (~250㎛)
- 이중코팅 광섬유 : 코어 + 클래딩 + 1차 코팅 + 2차 코팅 (~900㎛)
ㅇ 분산 보상이 가능한 광섬유
- 분산보상 광섬유 (DCF) : 기존 광섬유의 분산을 상쇄, 장거리 전송 시 신호 품질 유지
ㅇ ITU-T 표준 상의 광섬유에 대한 특성에 따른 분류 ☞ 광섬유 특성 분류 참조
- G.651, G.652, G.652.C, G.653, G.654, G.655, G.656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