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 용어

(2024-06-23)

결정화, 결정 관련 용어


1. 결정(結晶)의 규칙성

  ㅇ 결정성 (Crystalline)
     - 단결정체(Single Crystal) : 원자의 규칙적인 배열고체 전체에 균일하게 배열
     - 다결정체(Poly Crystal)   : 여러 방향의 단결정체가 모여 전체를 구성 

  ㅇ 비결정성/비정질 (Amorphous) : 장범위(long-range)에 걸쳐 비규칙적 배열을 갖음


2. 결정 규칙성의 범위장범위 규칙(LRO) : 고체 내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규칙적이고 반복적 배열단범위 규칙(SRO) : 바로 이웃한 원자,분자 정도에 만 규칙성을 갖음


3. 결정 규칙성의 표현격자 (Lattice)
     - 바둑판 눈금 처럼 등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는 2차원,3차원 평행 다면체
        . `격자 점` 및 `평행육면체 뼈대(공간격자)`로 이루어짐

  ㅇ 격자점 (Lattice Point)
     - 격자를 형성토록 연결될 수 있는 점들
        . 물질 어느 곳에서나 각 격자점에서의 주위환경은 동일함

  ㅇ 기본무늬 (Basis/Motif)
     - 결정 내 반복 규칙을 갖는, 가장 작은 단위의 형상/모양/형태

  ㅇ 공간격자(space lattice)/결정격자(crystalline lattice)
     - 결정구조에 대한 추상적인 뼈대
        . 구조 요소(원자,분자,이온 등)의 위치 점(격자점)들이 만드는 무늬 배열단위격자(단위셀) (unit lattice,unit cell,elementary cell)
     - 전체 격자의 모든 특성을 지닌 세분화단위 (기초) 격자
        . 병진(Translation) 반복 단위결정구조 전체를 나타낼 수 있는 가상적 평행 육면체

  ㅇ 격자상수 (Lattice Constant)
     - 결정의 입방 단위 셀의 규칙성을 나타내는 각도,변의 길이 등 


4. 결정계 분류 및 표현

  ㅇ 4 결정계 : 단순, 면심, 체심, 저심
     - 입방체(Cubic)에서 격자점 위치에 따른 4가지 구분방식

  ㅇ 7 결정계 
     - 격자점 위치와는 무관하게, 기하학적 형태로 만 7가지 구분

  ㅇ Bravais 격자 (Bravais Lattice)
     - Bravais는 모든 결정구조를 14개의 규격화된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임


5. 결정면, 결정방향

  ㅇ `결정면`은, 보통 중괄호 ( ) 로 나타냄

  ㅇ `결정 방향/결정면 방향`은, 보통 각괄호 < > 또는 [ ] 로 나타냄
    
     - (100) : MOSFET에 많이 쓰임
     - (111) : BJT에 많이 쓰임


6. 결정립, 결정립계, 다결정결정립(Crystal Grain)    : 작은 결정 (표면 관점)
  ㅇ 결정립계(Grain Boundary) : 단결정집합체인 다결정에서 단결정(결정립) 간의 경계
  ㅇ 다결정(Poly Crystalline) : 수 많은 단결정 또는 결정립들의 집합


7. 결정 결함 (Crystalline Defect)

  ㅇ 이상적 결정구조에서 벗어난 부분적인 불완전성
     - 이것은 결정의 성질에 큰 영향을 줌


8. 결정화 (Crystallization, 結晶化)

  ㅇ 결정 핵의 발생과 핵의 성장이라는 두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

결정학
1. 결정   2. 결정 용어   3.
결정 구분
  4.
결정 격자
  5.
결정 구조 표현
  6.
결정 구조 종별
  7.
결정 결함
  8.
X선 분석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건강 문제로 휴식중 )
[결정학]1. 결정   2. 결정 용어   3. [결정 구분]   4. [결정 격자]   5. [결정 구조 표현]   6. [결정 구조 종별]   7. [결정 결함]   8. [X선 분석]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8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