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le of Equivalence   등가 원리

(2024-11-15)

질량의 등가성


1. 등가 원리 (Principle of Equivalence , 等價原理)관성 질량중력 질량이 항상 동일함을 의미  :  질량등가성 
     - 뉴턴 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중요한 개념
        . 이는, 중력과 가속 운동이 구별될 수 없다는 원리로 확장되며, 
        .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의 핵심 기초를 이룸

     - 관성 질량 = 중력 질량동역학의 기본법칙 (뉴튼의 제2법칙)에 따라, 가속 = 중력
     -  a = FG/m = g


2. 뉴턴 역학에서의 등가 원리뉴턴 역학에서는,  관성 질량중력 질량이 우연히 같다고 가정하며, 실험적으로 검증

  ㅇ 例)
     - 갈릴레오의 낙하 실험
        . 같은 높이에서 다른 질량의 물체를 떨어뜨려도 동일한 가속도를 가짐
     - 단진자 실험
        . 같은 길이의 진자를 사용하면, 질량과 관계없이 주기가 동일
     * 이들 실험들은 관성 질량중력 질량이 항상 같은 값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


2. 상대성이론에서의 등가 원리

  ㅇ 약한 등가 원리 (WEP, Weak Equivalence Principle)
     - 질량의 종류(관성 질량중력 질량)가 같으므로, 
     - 모든 물체는 동일한 중력장에서 동일한 가속도를 가짐

     * 이는 뉴턴만유인력 법칙에서도 적용되며, 실험적으로 매우 높은 정밀도로 검증됨

  ㅇ 강한 등가 원리 (SEP, Strong Equivalence Principle)
     - 뉴턴 역학의 범위를 넘어, 
     - "가속되는 좌표계에서의 자연 법칙은, 중력장 안에서의 법칙과 동일해야 함"

     * 결국, 중력과 가속은 구별할 수 없음

  ㅇ 例) 우주선 실험
     - 중력이 없는 우주선 내부에서 가속 (a = g)을 주면, 
     - 중력장에서 서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

  ㅇ 일반 상대성이론등가 원리
     - 중력은, 단순한 이 아니라, 시공간의 곡률로 이해해야 함
        . 자유낙하하는 물체는 실제로 곡률에 따라 운동하는 것이므로, 
        . 이는 단순한 등가성의 확장이 아니라 중력이 없는 상태와 동일한 법칙이 적용됨을 의미
        . 이 논의는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을 통해 공식화됨

상대성이론
1. 상대성이론   2. 관성기준틀   3. 갈릴레이, 로렌츠 변환   4. 등가 원리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차재복)
[상대성이론]1. 상대성이론   2. 관성기준틀   3. 갈릴레이, 로렌츠 변환   4. 등가 원리  

  1. Top (분류 펼침)      :     1,604개 분류    6,617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