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류 전동기 구분

(2025-05-02)

분권 전동기, 직권 전동기, 복권 전동기


1. 직류 전동기의 `여자 방식별 구분`                      ☞ 여자(勵磁) 참조계자(자속 발생용) 전원 공급 방식 또는 연결 방식에 따른 분류

  ㅇ 타여자 방식의 직류 전동기 
     * (계자 권선에 필요한 전원이 따로 분리되어 공급되는 형태)
        . 계자 권선에 공급되는 전원전기자와는 별도로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공급됨
        . 계자 전류를 별도로 조절 가능하므로, 속도 제어토크 특성 제어에 유리
        . 제어 성능이 우수하여, 정밀 제어가 필요한 산업용 장비 등에 사용

  ㅇ 자여자 방식의 직류 전동기
     * (여자 전류전기자 발생 유도 기전력으로 흘려주는 형태)
        . 계자 권선 전류전기자에서 발생한 유기 기전력(자체 전압)에 의해 공급됨
           .. 초기 기동 시, 잔류 자속 있어야 전기자유도 기전력 발생, 이로부터 계자 전류 형성됨
           .. 일단 기동되면, 유도 기전력계자 권선을 지속 여자시켜 별도 전원 없이도 운전 가능

     - 분권 전동기 (shunt motor)
        . 전기자,계자 권선이 병렬로 연결
           .. 속도 변동이 작고, 정 속도 운전에 적합
           .. 일정한 속도를 요구하는 산업기계(공작 기계), 송풍기, 펌프 등에 활용

     - 직권 전동기 (series motor) 
        . 전기자,계자 권선이 직렬로 연결
           .. 기동 토크가 크고, 속도 제어에 유리
        . 계자 자속부하 전류에 비례 → 부하가 적을수록 자속이 줄어 고속 회전 유도
           .. 즉, 부하 증감에 따라 회전 속도가 변함
           .. 만일, 부하 전류가 작으면, 계자 코일에 의한 자속이 적어지므로, 고속 회전 가능
           .. 단, 계자 코일전류가 안 흐르면, 무 구속(부하) 고속 회전하므로 위험 함
           .. 따라서, 부하 연결이 필수적임 
        . 변속도 모터 라고도 함
           .. 기동 토크가 크지만, 부하 변동이 큰 변속 전동기가 필요한, 전철,엘리베이터,전차 등

     - 복권 전동기 (compound motor)
        . 분권과 직권 계자를 모두 갖는 구조의 전동기
           .. 가동 복권식 : 직권 권선과 분권 권선이 동일 방향으로 여자됨
           .. 차동 복권식 : 직권 권선과 분권 권선이 반대 방향으로 여자됨

  ㅇ (주요 차이점)
     - 타여자 : 계자 전류를 외부 전원에서 공급받으므로, 회전 방향 변경이 자유로움
     - 자여자 : 회전 방향을 변경하면, 잔류 자속이 소멸되어, 재기동이 불가능할 수 있음


2. 직류 전동기의 `브러시 유무에 따른 구분`브러시 모터
     - 권선모터 (Wound Field)  ☞ 위 1.항 참조
     - 영구자석모터 (Permanent Magnet, PMDC)
        . 자극이 영구자석으로 된 직류 전동기브러시리시 모터 (Brushless DC Motor : BLDC 모터)
     - 기계적인 브러시,정류자 대신에, 
     - 반도체 트랜지스터 전자회로를 사용 (하드디스크 등)

전동기 (모터)
1. 모터   2. 전동기 제어   3. 교류 전동기   4. 회전 자계   5. 동기 전동기   6. 비동기 전동기 (유도 전동기)   7. 직류 전동기   8. 직류 전동기 구분   9. 브러시리시 모터   10. 스텝 모터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