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버스형 (Bus Topology)
ㅇ 모든 노드(node)들이, 하나의 간선을 공유하며, 버스 T자형으로 연결되는 토폴로지 형태
- LAN(LAN network)의 기본 형태(Topology) 중의 하나
2. 버스형 장점
ㅇ 접속 방식이 간단함
- 각 노드는 간단한 커넥터나 탭(tap)을 이용하여 버스에 직접 연결
ㅇ 부하 분산
- 통신 부하/비용 대부분이 단말 장치측으로 분산됨 (중앙 집중 장치 필요 없음)
- 버스 그 자체는, 단순한 전송 매체일 뿐이며, 실제 통신 제어는 각 단말 노드에서 처리
ㅇ 구조가 단순하여, 구성 및 확장이 간단 (비용 효율성)
- 별도의 스위치나 허브 없이 하나의 케이블로 여러 노드 연결 가능
- 케이블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최소
-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ㅇ 노드 고장에 대한 독립성
- 개별 노드의 고장은 전체 네트워크 운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그러나, 주 선로에 고장이 나면 전체에 영향을 줌
3. 버스형 단점
ㅇ 주 케이블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 중단
ㅇ 거리 및 노드 수 제한
- 기저대(Baseband) 전송방식을 쓸 경우에는,
- 거리에 민감하여 거리가 멀어지면 중계기가 필요하게 됨
ㅇ 전송 충돌 가능성
- 여러 노드가 동시에 전송을 시도할 경우, 충돌 발생 가능성
. CSMA/CD 같은 충돌 감지 프로토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