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 type, Bus Topology   버스형, 버스 토폴로지

(2025-02-08)

1. 버스형 (Bus Topology)

  ㅇ 모든 노드(node)들이, 하나의 간선을 공유하며, 버스 T자형으로 연결되는 토폴로지 형태
     - LAN(LAN network)의 기본 형태(Topology) 중의 하나
     


2. 버스형 장점

  ㅇ 접속 방식이 간단함
     - 각 노드는 간단한 커넥터(tap)을 이용하여 버스에 직접 연결
  ㅇ 부하 분산
     - 통신 부하/비용 대부분이 단말 장치측으로 분산됨 (중앙 집중 장치 필요 없음)
     - 버스 그 자체는, 단순한 전송 매체일 뿐이며, 실제 통신 제어는 각 단말 노드에서 처리
  ㅇ 구조가 단순하여, 구성 및 확장이 간단 (비용 효율성)
     - 별도의 스위치허브 없이 하나의 케이블로 여러 노드 연결 가능
     - 케이블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최소
     -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ㅇ 노드 고장에 대한 독립성
     - 개별 노드고장은 전체 네트워크 운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그러나, 주 선로고장이 나면 전체에 영향을 줌


3. 버스형 단점

  ㅇ 주 케이블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 중단
  ㅇ 거리 및 노드 수 제한
     - 기저대(Baseband) 전송방식을 쓸 경우에는,
     - 거리에 민감하여 거리가 멀어지면 중계기가 필요하게 됨
  ㅇ 전송 충돌 가능성
     - 여러 노드가 동시에 전송을 시도할 경우, 충돌 발생 가능성
        . CSMA/CD 같은 충돌 감지 프로토콜 필요

토폴로지
1. "토폴로지" 이란?   2. 망형/그물형 (Mesh)   3. 트리형 (Tree)   4. 링형/환형 (Ring)   5. 성형/스타형 (Star)   6. 버스형 (Bus)   7. 선형망 (Linear)   8. PTP, PTMP   9. 중첩망 (Overlay)   10. 토큰 제어   11. 토큰 링   12. 토큰 버스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편집 격려 (소액 후원)
[토폴로지]1. "토폴로지" 이란?   2. 망형/그물형 (Mesh)   3. 트리형 (Tree)   4. 링형/환형 (Ring)   5. 성형/스타형 (Star)   6. 버스형 (Bus)   7. 선형망 (Linear)   8. PTP, PTMP   9. 중첩망 (Overlay)   10. 토큰 제어   11. 토큰 링   12. 토큰 버스  

  1. Top (분류 펼침)      :     1,609개 분류    6,644건 해설